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THE 원칙 지키미 입니다. 2025년 을사년, 글로벌 시장 전망 및 주요 일정에 대해서 정리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2025년 글로벌 시장 전망 요약
상반기 (H1)
- 글로벌 경제는 완만한 경기 둔화와 금리 인하 진행이 예상됩니다.
- 미국은 고용 시장 완화와 주거비 둔화를 통해 인플레이션 압력이 완화될 전망입니다.
- 주요국의 경기 부양책이 병행되며, AI 및 기술 주도 혁신 산업이 성장을 견인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 AI, 반도체, 소프트웨어 등의 기술 분야와 신산업 테마가 부각될 것입니다.
하반기 (H2)
- 금리 인하의 효과가 본격화되며 글로벌 경제가 점진적으로 회복세를 보일 전망입니다.
- 미국 연준의 지속적인 금리 인하로 경기 부양이 강화될 것입니다.
- 한국 및 글로벌 주식 시장은 AI 및 On-Device AI 기술 발전과 함께 성장할 전망입니다.
- 주요 산업에서는 AI, 헬스케어, 반도체 등의 분야에서 투자 기회가 증가할 것입니다.
트럼프 2기 정부 출범에 따른 한국의 긍정적/부정적 요인
긍정적 요인
- 한미 동맹 및 경제 협력 강화 – 군사, 방위산업 및 경제 협력 확대.
- 무역 및 투자 기회 확대 – 미국 내 투자 및 공장 설립 시 혜택 기대.
- 에너지·방산 산업 성장 – 미국산 LNG·원유 수입 증가, 방산 협력 강화.
- 중국 견제에 따른 반사이익 – 한국이 공급망에서 중국 대체 가능성.
부정적 요인
- 미중 무역 갈등 심화 – 글로벌 교역 위축, 수출 산업 타격.
- 무역 압박 가능성 – 자동차, 철강 등 한국 수출품에 무역 장벽 강화 우려.
- 방위비 분담금 인상 요구 – 한국 정부 예산 부담 증가 가능성.
- 금융 시장 불안정성 – 보호무역으로 인한 증시 및 환율 변동성 확대.
- 대북 정책 변화 – 강경 노선 시 한반도 긴장 고조 가능성.
주요 일정 및 이벤트
1월
- CES 2025 (7-10일, 라스베가스) – 세계 최대 IT·가전 박람회.
- 세계경제포럼 다보스회의 (15-17일) – 글로벌 리더들이 모여 경제, 기후변화 등 논의.
- 세계반도체협회(SIA) 연례회의 – 반도체 시장 전망 및 기술 논의.
- ECB 통화정책회의 (23-24일) – 유럽 중앙은행의 정책 방향 결정.
- 미국 4분기 GDP 발표 – 미국 경제 성장률 발표.
- 삼성 갤럭시 S25 언팩 이벤트 – 삼성의 플래그십 스마트폰 공개 행사.
2월
- BOE 통화정책회의 (1일) – 영국 중앙은행 금리 결정.
- FOMC 의사록 공개 – 미국 연방준비제도의 금리 및 통화 정책 관련 회의록 발표.
- 바르셀로나 MWC 2025 (28일-3월 4일) – 세계 최대 모바일 기술 박람회.
- 미국 비농업 고용지수 발표 – 미국 고용시장 현황 발표.
- 중국 춘절 연휴 – 중국 경제의 연간 최대 소비 기간.
- G20 재무장관 회의 – 글로벌 경제 협력 및 금융 정책 논의.
3월
- ECB 통화정책회의 (5-6일) – 유럽 중앙은행 금리 및 통화 정책 결정.
- FOMC 통화정책회의 (18-19일) – 미국 연방준비제도의 금리 인하 여부 결정.
- 삼성 갤럭시 S25 언팩 이벤트 – 신형 갤럭시 출시.
- 글로벌 기후 정상회의 – 주요국 정상들이 기후 변화 및 탄소 중립 논의.
- 미국 고용보고서 발표 – 비농업 부문 고용 현황 발표.
- 애플 봄 이벤트 – 신형 아이패드 및 맥북 발표 예상.
4월
- 서울 모빌리티쇼 2025 (3-13일) – 미래 자동차 및 모빌리티 기술 전시회.
- Google Cloud Next – 구글의 클라우드 기술 컨퍼런스.
- 미국 CPI 발표 – 소비자 물가 상승률 발표.
- AACR 연례회의 (23-30일) – 세계 암 연구 컨퍼런스.
- 중국 경제 성장률 발표 – 1분기 GDP 및 성장률 공개.
- FOMC 의사록 발표 – 미국 금리 정책 관련 발표.
5월
- 버크셔 해서웨이 주주총회 (3-5일) – 워렌 버핏이 이끄는 연례 투자자 행사.
- FOMC 통화정책회의 (20-21일) – 연방준비제도의 금리 정책 결정.
- ASCO 세계 암학회 – 암 치료 및 신약 개발 관련 행사.
- 미국 1분기 GDP 발표 – 경제 성장률 공식 발표.
- 애플 연례 주주총회 – 애플의 연간 실적 및 향후 전략 발표.
- OECD 경제 전망 발표 – 글로벌 경제에 대한 주요 전망.
6월
- ECB 통화정책회의 (15-17일) – 유럽 경제 정책 결정.
- FOMC 통화정책회의 (25-26일) – 미국 금리 인하 여부 발표.
- 애플 WWDC 2025 (16-20일) – 애플 개발자 컨퍼런스, iOS 및 신제품 발표.
- Google I/O – 구글의 연례 개발자 행사, 안드로이드 및 신기술 공개.
- 한국 금통위 회의 – 한국은행의 금리 및 통화 정책 결정.
- G7 정상회의 – 주요 선진국 정상 회담.
7월
- 한국 금융위원회 회의 (10일) – 한국 금융 정책 방향 발표.
- FOMC 통화정책회의 (23-24일) – 미국 경제 현황 및 금리 결정.
- 글로벌 스마트폰 출하량 발표 – 스마트폰 시장 동향 발표.
- 미국 고용보고서 발표 – 주요 고용지표 공개.
- 일본 통화정책회의 – 일본의 경제 정책 방향 결정.
- 도쿄 게임쇼 2025 – 신작 게임 및 콘솔 발표.
8월
- BOE 통화정책회의 (7일) – 영국 중앙은행 정책 발표.
- 잭슨홀 경제정책 심포지엄 (28일) – 글로벌 경제정책 결정자 회의.
- 미국 PCE 발표 – 개인소비지출 지표 발표.
- 글로벌 반도체 시장 전망 – 반도체 수요와 공급 동향 발표.
- 중국 PMI 발표 – 제조업 동향 발표.
- IFA 베를린 2025 – 유럽 최대 가전 박람회.
9월
- 애플 아이폰 17 공개 (10일) – 신형 아이폰 발표 이벤트.
- FOMC 통화정책회의 – 미국 경제 정책 논의.
- ECB 통화정책회의 – 유럽 금리 발표.
- Google Pixel 9 공개 – 구글의 신형 스마트폰 발표.
- IAA 모빌리티쇼 (독일) – 글로벌 모빌리티 기술 전시회.
- 삼성 폴더블폰 공개 이벤트
10월
- 세계은행/IMF 연차총회 (17-19일) – 글로벌 경제 및 금융 정책 논의.
- 한국 금통위 회의 – 한국은행 금리 정책 발표.
- 미국 3분기 GDP 발표
- 유럽 에너지 서밋
- 미국 고용보고서 발표
11월
- ECB 통화정책회의 (6일) – 유럽 중앙은행의 금리 정책 발표.
- 미국 대선 (11일) – 미국 대통령 선거, 글로벌 정치·경제에 큰 영향 예상.
- OPEC 석유시장 전망 발표 – 원유 가격 및 생산량 조정 논의.
- 블랙 프라이데이 (28일) – 연말 쇼핑 시즌 시작, 미국 및 글로벌 소비 동향에 영향.
- BOE 통화정책회의 – 영국 중앙은행의 정책 방향 발표.
- FOMC 의사록 발표 – 미국 연준의 금리 및 경기 전망 관련 의사록 공개.
- 삼성 개발자 컨퍼런스 (SDC) – 삼성의 신기술 및 소프트웨어 전략 발표.
12월
- FOMC 통화정책회의 (10-11일) – 연방준비제도 금리 결정 및 연간 경제 전망 발표.
- 애플 연말 제품 발표회 – 신형 맥북, 에어팟, 기타 제품 공개 예상.
- 크리스마스 연휴 및 소비 시즌 – 글로벌 소비 활성화 및 연말 매출 상승 기대.
- Cyber Monday (12월 1일) – 온라인 쇼핑 최대 행사.
- 일본 중앙은행 정책회의 – 일본 경제 정책 및 금리 방향 발표.
- 유럽 정상회의 – EU 주요 정책 및 경제 이슈 논의.
- 글로벌 연말 증시 마감 – 주요국 증시 연말 마무리, 연간 실적 평가 발표.
*출처 : 미래에셋증권 김석환 수석연구위원
728x90
반응형
'STOCK > 시황 및 특징테마' 카테고리의 다른 글
25.01.06 (월) KRX 증시 브리핑 및 특징 테마 - CES 2025 기대감, 美 中 드론 기술 금지 등. (2) | 2025.01.06 |
---|---|
25.01.03 (금) KRX 증시 브리핑 및 특징 테마 - 양자컴퓨터, 반도체, 2차전지, 풍력/ESS 장치 등 (3) | 2025.01.03 |
25.01.02 (목) KRX 증시 브리핑 및 특징 테마 - 2025년의 시작, #로봇, 전력설비, 조선 등. (4) | 2025.01.02 |
24.12.30 (월) KRX 증시 브리핑 및 특징 테마 - 2024년 마지막 거래일 (6) | 2024.12.31 |
24.12.27 (금) KRX 증시 브리핑 및 특징 테마 - # 양자암호, 반도체 (3) | 2024.12.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