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로봇4

24.3.19 (화) 시황 및 특징테마 : 미국 - AI 생태계 확장 기대감에 대형 기술주 중심으로 상승. 한국 - BOJ에 따른 변동성 확대, 기관/외인의 매도세, 원달러 환율 재차 상승 등 약세로 마감. 1. 전일 美장 브리핑 AI 생태계 (GTC 2024) - 미국 증시 기술주 중심으로 강세, 나스닥 0.8% 상승 (러셀2000은 하락) - 미국 3월 주택시장지수 (NAHB) 51, '예상 상회' - 원유공급차질 우려, WTI 5개월래 최고, 구리 상승세 지속 (우크, 러시아 원유시설 공격에 의한 공급 쇼티지 우려) - 니혼게이자이, 'BOJ 마이너스 금리 & WCC 정책 철폐할 듯' 장중 변화 요인 시장의 키는 'AI' 금주, 주요국의 통화정책 등의 큰 이벤트가 있고, 최근 국채수익률 & 달러인덱스가 상승에도 불구하고 개별 종목의 강세로 시장을 주도하고 있음. GTC2024에서 엔비디아의 메시지가 중요하게 작용할 것으로 판단. 3월 NAHB 주택시장심리지수 심리지수는 지난달 48에서 51로 상승하며 .. 2024. 3. 18.
24.3.12 (화) 시황 및 특징테마 - 미 CPI 앞두고 혼조 마감, 한국 금융투자를 중심으로 한 기관 매수세 유입, #2차전지, #반도체, #로봇 테마 강세. 1. 전일 美장 브리핑 2월 CPI - 미국 증시 혼조 마감 (나스닥 하락, 다우 상승) - 뉴욕 연은, '3년&5년 기대 인플레 상승' - 비트코인 72000달러, 이더리움 4000달러 돌파 - 바이든, 2025년 예산안 제출...증세안 담 장중 변화 요인 미 증시는 CPI 발표를 앞둔 경계감으로 혼조 마감. 엔비디아를 비롯한 반도체 업종이 이틀 연속 약세를 보임. 반면, 약세를 보였던 애플은 이틀 연속 상승하며 하락을 상쇄. 기대인플레이션 상승, BTFP 종료 뉴욕 연은이 공개한 [2월 소비자기대조사]에 따르면 1년 후 기대인플레는 앞선 2개월과 동일한 3% 유지. 3년 후 2.4% -> 2.7% 5년 후 2.5% -> 2.9% 로 높아져. 이는 고물가가 장기화될 것이라는 소비자 기대를 반영한 것으로.. 2024. 3. 11.
24.1.16 (화) 시황 및 특징테마, 전일 미장 휴장, 올해 기업의 이익 전망치 하향 분위기로 기관의 매도세 지속, 다시 강달러!! (1,330원 돌파) 1. 전일 유로존 브리핑 독일 GDP, ECB 매파적 발언 ; 미장 휴장으로 유로존 내용을 요약해 본다. - 요하임 니켈 (독일), 로버트 홀츠만(오스트리아) 등 ECB 위원들의 매파적 발언에 국채 수익률 상승 - 유로존 산업생산 석달째 감소 - 지난해 독일 GDP 3년만의 역성장 장중 변화 요인은, 유럽중앙은행(ECB) 위원들의 매파적 발언과 2023년 독일 경제 성장률이 위축되었다는 소식에 약세 마감. 요하임 니겔 "금리인하에 대한 논의 너무 일러" 로버트 홀츠만 "올해 금리 인하 없을 수도 있다." 또한, 유로존과 미국의 정책금리 기대 경로를 살펴보면 올해 강한 금리 인하 기대감을 반영하고 있다. 개별 종목으로, 버버리(-5.72%)는 52주 신저가 위치. 골드만삭스 투자의견, 목표가 하향. Vol.. 2024. 1. 16.
23.09.07 (목) #로봇, #에너지, #비만치료제, 원달러 환율 상승, 외인/기관의 동반 매도세로 양지수 하락마감 마감시황 특징테마 # 로봇/협동로봇 테마 # 지능형로봇/AI # AI 의료기기 # LPG # 자율주행 특징테마 이 슈 요 약 로봇(산업용/협동로봇 등) 대기업 로봇 사업 협업 및 두산로보틱스 상장 기대감, 정부 로봇 육성 정책 기대감 지속 등에 상승 ▷올해 기업공개(IPO) 시장의 최대어로 꼽히고 있는 두산로보틱스의 상장 기대감이 지속되고 있는 가운데, 삼성전자 등 대기업들이 로봇 산업에 본격적으로 뛰어들면서 이에 대한 기대감이 지속되는 모습. 정부 역시 로봇 산업 육성 정책에 힘을 싣고 있는 만큼, 업계에서는 하반기 로봇주가 견조한 흐름을 이어갈 것이라는 분석이 나오고 있음. ▷내달 코스피 상장을 앞둔 두산로보틱스는 오는 11~15일 기관 투자자 수요예측을 진행할 예정이며, 공모가 희망밴드는 2만1,0.. 2023. 9. 7.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