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02.19 (수) KRX 증시 요약 및 특징 테마 정리 (조선, 반도체, 2차 전지, 냉각 시스템)
by THE 원칙 지키미2025. 2. 19.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THE 원칙 지키미입니다. 오늘의 KRX 마감 브리핑 및 특징 테마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국내 증시 마감 브리핑
2025년 2월 19일 KRX 마감 시황: KOSPI 7일 연속 상승, KOSDAQ 5일 연속 상승!
오늘 국내 증시는 반도체 업황 개선 기대감과 외국인·기관의 강한 매수세가 이어지면서 KOSPI와 KOSDAQ이 동반 상승 마감했습니다. 특히 KOSPI는 7거래일 연속 상승하며 2,670선을 돌파, KOSDAQ 역시 5일 연속 상승하며 780선에 근접했습니다.
1. 주요 지수 동향
✅ KOSPI: 2,671.52p (+1.70%)
해외 반도체 지수 강세 및 K칩스법 기재위 통과 영향
전기전자 업종 중심으로 외국인·기관 강한 매수세 유입
7거래일 연속 상승하며 2,670선 돌파
✅ KOSDAQ: 778.27p (+0.60%)
기관·개인 순매수세 속 2차전지 관련주 강세
5거래일 연속 상승하며 780선 근접
2. 업종별 흐름
📌 KOSPI 업종 상승 TOP 4
전기·전자 (+3.2%) → 반도체 업황 개선 기대감
금속 (+2.5%) → 원자재 수요 증가 전망
운송장비·부품 (+2.0%) → 글로벌 수요 회복
일반서비스 (+1.9%)
📌 KOSDAQ 업종 상승 TOP 3
종이·목재 (+6.9%)
화학 (+2.5%)
금융 (+2.2%)
3. 투자자별 매매 동향
- KOSPI: 기관·외국인 강한 매수세
✅ 외국인: +3,954억 원 매수 ✅ 기관: +7,806억 원 매수 ❌ 개인: -12,223억 원 매도
📌 외국인 주요 매수 업종:
전기·전자 (+3,667억 원)
운송장비·부품 (+1,116억 원)
금속 (+443억 원)
- KOSDAQ: 기관·개인 매수 전환
✅ 기관: +137억 원 매수 ✅ 개인: +788억 원 매수 ❌ 외국인: -830억 원 매도
4. 해외 증시 및 주요 지표
📌 해외 증시 흐름
다우 (+0.02%) / 나스닥 (+0.1%)
유럽 DAX (+0.2%) / 일본 니케이 (-0.3%)
홍콩 HSI (-0.3%) / 중국 상해종합 (+0.8%)
📌 환율 및 원자재 가격
원/달러 환율: 1,439.0원 (-0.5원, 2일 연속 강세)
국제유가(WTI): 71.83달러 (4일 만에 상승)
📌 채권 금리
국채 3년물: 2.630% (-0.9bp)
국채 10년물: 2.873% (-0.5bp)
5. 오늘의 증시 분석
✅ KOSPI: 반도체 업황 개선 기대감 + 외국인·기관 강한 매수세
K칩스법 기재위 통과 소식으로 반도체 관련주 급등
전기전자·운송장비·금속 업종 강세, 외국인·기관 매수세 견고
✅ KOSDAQ: 2차전지 관련주 강세 속 5일 연속 상승
기관·개인 매수세 유입되며 상승 지속
외국인은 매도세 지속, 개인·기관 매수세 유지
✅ 원화 강세 지속, 유가 상승 주목
원화 강세가 외국인 투자 심리 회복 가능성
유가 상승이 원가 부담 확대 가능성
✅ 글로벌 증시 흐름 안정 속 추가 상승 가능성
美 증시 혼조세 속 반도체 지수 강세 지속 여부 주목
기관 매수세 유지 시 KOSPI 추가 상승 가능
특징테마
금일 특징테마
2/19 수요일 특징테마
이 슈 요 약
조선/ 조선기자재/ LNG(액화천연가스)
美 LNG 수출 확대 기조 및 오만 Asyad 발주 계획에 따른 수혜 기대감 등에 상승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 부가 최근 액화천연가스(LNG) 수출 허가를 승인하는 등 LNG 수출 확대 기조를 이어감에 따라 관련주들의 수혜 기대감이 지속되고 있음. 이와 관련, 트럼프 행정부는 지난 14일 루이지애나주 커먼웰스 LNG 프로젝트의 수출을 허용한 바 있으며, 최종 투자 여부는 오는 9월 결정되고 2029년쯤 LNG 생산이 이뤄질 것으로 전망되고 있음. 이에 더해 EU도 LNG 프로젝트 투자를 검토한다는 소식이 전해짐.
▷신영증권은 최근 보고서를 통해 현재 미국에 19건의 대규모 LNG 수출 프로젝트와 3건의 소규모 LNG 벙커링(선박 연료 공급) 프로젝트가 기본 설계 단계에 있다며, 이에 따라 대형 LNG 선박이 311척 가량 필요할 것으로 전망했음. 아울러 기본 설계 이전승인 단계를 거치지 않은 프로젝트 중에서도 북미 지역 프로젝트가 다수 있어 앞으로 미국이 LNG 시장에서 카타르 이상의 영향력을 발휘할 수 있을 것이라고 언급했음.
▷또한, IBK투자증권은 금일 보고서를 통해 오만의 Asyad Shipping(이하 Asyad)은 IPO 이후 조달한 자금으로 30척(약 3.7조원 규모) 규모의 발주 계획을 밝혔다며, 금번 Asyad의 30척 발주 계획에 대해 한국 조선사들의 수혜를 예상된다고 밝힘. 특히 HD현대미포의 수혜가 가장 클 것으로 전망되는데, 이는 Asyad가 벌크선, 컨테이너선을 제외하고는 중국에 발주한 이력이 없고, 오만은 2024년 Duqm 정제설비 가동을 시작하며 석유화학제품 수출 수요가 크게 증가했으며, PC선 12척 중 가장 최근 발주한 10척을 모두 HD현대미포에발주한 이력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라고 언급.
▷이 같은 소식에 금일 삼성중공업, 한국카본, HD현대미포, HD현대중공업, HD한국조선해양, HD현대마린솔루션, 한화엔진 등 조선/조선기자재/LNG(액화천연가스) 테마가 상승.
반도체 관련주
美 필라델피아 반도체(+1.68%) 지수 강세, K칩스법 기재위 통과, 메모리반도체 업황 개선 전망 등에 상승
▷지난밤 뉴욕 주식시장이 연준 신중론 및 러-우 협상 관망 속 소폭 상승 마감한 가운데,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 전거래일 대비 86.91(+1.68%) 상승한 5,247.85를 기록. 엔비디아(+0.40%), AMD(+1.04%), 마이크론 테크놀로지(+7.31%) 등이 상승. 특히, 인텔(+16.06%)은 TSMC와 브로드컴이 각각 인텔의 일부 사업 부문 지분 인수 방안 검토 소식 속 급등. 마이크론 테크놀로지(+7.31%)는 HBM3E 12단 양산을 시작하고 엔비디아에 공급할 예정인 가운데, 엔비디아 자체 메모리 표준 SOCAMM 상용화 목적으로 마이크론을 포함한 삼성전자·SK하이닉스 등 메모리반도체 업체와 협의하고 있다는 소식 및 억만장자 투자자로 알려진 스탠리 드러켄밀러 듀케인패밀리오피스 회장이 지분을 매수했다는 소식이 전해짐.
▷국회 기획재정위는 전일 전체회의를 열어 반도체 기업의 통합투자세액공제율을 현행보다 5%p 상향하는 내용을골자로 한 이른바 'K칩스법'(조세특례제한법 개정안)을 심의·의결. 이번 개정안이 국회 본회의까지 통과하면 반도체 기업의 시설 투자에 대한 세액공제율은 대·중견기업 15%, 중소기업 25%에서 각각 20%와 30%로 상향조정될 예정. 또한, 신성장·원천기술 및 국가전략기술에 대한 R&D 세액공제 적용 기한을 2029년 말까지 5년 연장하고, 반도체 R&D 세액공제는 2031년 말까지 7년 연장하는 법안도 전체회의를 통과했음.
▷최근 시장조사기관 트렌드포스는 올해 1분기에도 낸드 플래시 시장은 공급 과잉으로 가격 하락이 지속할 것으로 예상되지만, 하반기에는 시장 수요와 공급 균형이 크게 개선될 것으로 전망. 마이크론, 삼성전자, SK하이닉스(솔리다임 포함), 키옥시아, 샌디스크 등 제조업체들이 (낸드) 감산 계획을 세우고 있다며, 이르면 올해 2분기부터 공급업체 감산과 AI 수요가 낸드 가격 회복을 견인할 것으로 전망.
▷이 같은 소식 속 SK하이닉스, 삼성전자, 한미반도체, HPSP, 이오테크닉스, 인텍플러스, 하나마이크론 등 반도체 관련주가 상승. 특히, 한미반도체는 JP모건이 비중 확대 및 목표주가 15만원 분석 보고서를 발간한 점이 긍정적으로 작용.
2차전지/ 전기차 등
도요타, LG엔솔 美랜싱 공장서 약 2조원 규모 배터리 구매 합의 및 이스라엘 스토어닷 韓 투자 소식 등에 상승
▷18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일본 도요타가 LG에너지솔루션의 미시간주 랜싱 배터리공장에서 약 15억달러(약 2조1,600억원) 규모의 배터리를 구매하기로 합의했다고 전해짐. 도요타가 구매하는 배터리는 전기차와 하이브리드차에 사용될 예정이며, LG에너지솔루션은 곧 가동을 시작하는 3공장의 일부 생산 물량을 AI 데이터센터 수요 증가에 따라 ESS(에너지저장장치) 용도로 공급할 계획임. 이와 관련, LG에너지솔루션은 성명을 통해 "이것은 북미 지역에 대한 우리의 투자를 더 최적화하고, 글로벌 자동차 제조사의 수요에 대응한다는 전략적 목표의 일부"라고 밝힘. 이번 계약으로 LG에너지솔루션은 랜싱 공장의 운 영 안정성을 확보하며 북미 전기차 및 ESS 시장에서 입지를 강화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음.
▷전일 일부 언론에 따르면, 이스라엘 유니콘 기업 스토어닷이 글로벌 배터리 생산기지로 한국을 낙점하고 대규모 투자에 나선다는 소식이 전해짐. 스토어닷은 전일 국내 배터리 기술 전문기업 JR에너지솔루션과 초고속 충전 배터리 양산을 위한 합작법인(JV) 설립을 추진한다고 알려짐. 양사는 올해 연산 1.5GWh 규모 배터리를 생산할 예정이고, 2027년 4GWh 규모로 생산량을 점진적으로 늘려나갈 전망. 또한, 전기차 배터리뿐 아니라 드론과 휴머노이드 로봇용 초고속 충전 배터리도 함께 양산할 예정. 글로벌 수요 확대에 대비해 최대 10GWh까지 생산량을 확대한다는 구상.
▷한편, 트럼프 대통령은 현지시간 18일 자동차 관세를어느 정도로 부과할 것이냐는 질문에 "난 아마 여러분에게 4월2일(현지시간)에 이야기할 텐데 25% 정도가 될 것"이라고 밝힘. 이어 "하지만우리는 그들(기업들)에게 (미국에 투자하러) 들어올 시간을 주고 싶다"며 "그들이 미국으로 와서 여기에 공장을 두면 관세가 없기 때문에 우리는 그들에게 약간의 기회를 주고 싶다"고 덧붙였음.
▷이 같은 소식 속 LG에너지솔루션, 에코프로, 에코프로비엠, 코세스, 엔시스, 티에스아이, 포스코퓨처엠, 코스모신소재, 이브이첨단소재, 에코앤드림, 삼성SDI, 중앙첨단소재 등 2차전지/ 전기차/ 리튬 등 테마가 상승.
냉각시스템(액침냉각 등)
한국에 세계 최대 규모 인공지능(AI) 데이터센터 건설 추진소식 등에 상승
▷현지시간으로 18일 외신에 따르면, 한국에 세계 최대 규모의 인공지능(AI) 데이터 센터 건설이 추진되고 있다는 소식이 전해짐. 해당 데이터 센터의 규모는 3기가와트(GW)로, 최대 350억 달러(약 50조원)가 투자될 것으로알려짐. 해당 프로젝트는 '스톡팜로드'라는 투자 그룹이 주도하고 있으며 그룹의 공동 창립자가 LG 창업주 손자인 브라이언 구와 런던·요르단에 기반을 둔 투자사 BADR 인베스트먼트 설립자이자 최고경영자(CEO)인 아민 바드르엘딘으로 알려짐.
▷데이터 센터가 들어설 장소에 대해서는 서울에서 멀리 떨어진 남서부 지역에서 추진되고 있다며 올해 초 착공에 들어가 2028년 완공을 목표로 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짐.
▷이 같은 소식 속 AI 데이터센터 내 냉각시스템에 대한 관심이 커지면서 GST, 한중엔시에스, 케이엔솔, 워트 등 냉각시스템(액침냉각 등) 테마가 상승.
증권
주식시장 자금 유입에 따른 업황 개선 기대감 등에 상승
▷교보증권은 보고서를 통해 증권업에 대한 투자의견 'Overweight'를 유지한다며, 작년 말부터 시작된 경기둔화 및 정치적 불확실성에 금융시장 우려가 여전히 존재하긴 하지만, 향후 기준금리 인하 효과가 점차 시장 유동성 증가로 이어지면서 결국 주식시장으로의 자금유입이 기대된다고 밝힘. 여기에 지난 몇 년 간 가시적으로 보여줬다는 점과, 과거대비 높은 자본력을 바탕으로체력이 커진 만큼 자본시장 회복 시 실적은 빠르게 개선될 것으로 전망.
▷아울러 금일 코스피지수는 외국인과 기관의 동반 순매수 등에 7거래일 연속 상승, 2,670선에 안착했음. 코스닥지수도 5거래일 연속 상승 마감.
▷이에 유진투자증권, 미래에셋증권, LS증권, 다올투자증권, 키움증권 등 증권 테마가 상승.
아이폰
아이폰SE 4세대 공개 기대감 지속 등에 상승
▷언론에 따르면, 애플은 오는 19일(현지시간) 아이폰SE 4를 출시할 예정. 팀 쿡 애플CEO는 지난 13일(현지시간) "새로운 가족 구성원을 만날 준비를 하라. 2월19일 수요일"이라고 밝힌 바 있음. 시장에서는 그가 언급한 제품이아이폰SE 4를 가리키는 것으로 예상되고 있으며, 블룸버그는 "새로운 중저가 아이폰 출시가 임박했다"며, "쿡 CEO가 자세한 내용은 말하지 않았지만 현재 애플 매장에는 (이전) 아이폰SE 재고가 빠르게 소진되고 있다. 이는 새 기기가 출시된다는 신호"라고 밝힘.
▷애플이 보급형 스마트폰을 출시하는 건 2022년 3월 아이폰 SE 3를 출시한 이후 약 3년 만으로, 보급형 모델이지만 AI 기능을 추가해 삼성전자의 플래그십 모델인 갤럭시 S시리즈와 중급형 라인업인 A시리즈와 경쟁에 나설 것으로 전망. 한편, SE 4의 가격은 아이폰 SE3의 429달러(약 62만원)보다 10만원 정도 비싼 499달러(약 72만원) 수준으로 예상되고 있음.
▷이 같은 소식 속 덕우전자, 아이티엠반도체, LG이노텍, 프로텍, 슈피겐코리아, 인터플렉스 등 아이폰 테마가 상승.
자동차 대표주/ 자동차부품
트럼프, 자동차 관세 시간 부여 소식에 상승
▷언론에 따르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18일(현지시간) 플로리다주 마러라고 사저에서 한 기자회견에서 자동차 관세를 어느 정도로 부과할 것이냐는 질문에 "난 아마 여러분에게 4월2일(현지시간)에 이야기할 텐데 25% 정도가 될 것"이라고 밝힘. 이어 "하지만 우리는 그들(기업들)에게 (미국에 투자하러) 들어올 시간을 주고 싶다"며"그들이 미국으로 와서 여기에 공장을 두면 관세가 없기 때문에 우리는 그들에게 약간의 기회를 주고 싶다"고 덧붙였음.
▷이 같은 소식에 현대차, 기아, KG모빌리티, 현대모비스, 모베이스, 에스엘, 나라엠앤디, 휴림에이텍등 자동차 대표주/자동차부품 테마가 상승.
정치/인맥(한동훈)
한동훈 전 국민의힘 대표, 정계 복귀 임박 속 상승
▷한동훈 전 국민의힘 대표가 정치 활동 재개를 예고한 가운데, 직접 집필한 '국민이 먼저입니다'라는 제목의 책이 출간을 앞두고 금일 오전부터 주요 온라인 서점에서 예약판매를 시작했다는 소식이 전해짐. 해당 서적은 26일 출간될 예정.
▷한편, 최근한 전 대표는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지난 두 달 동안 많은 분의 말씀을 경청하고 성찰의 시간을 가졌다”며 “머지않아 찾아 뵙겠다”고 밝힌 바 있음.
▷이 같은 소식에 디티앤씨알오, 덕성, 유니드비티플러스, 태양금속, 대상홀딩스, 오파스넷 등 정치/인맥(한동훈) 테마가 상승.
철강 주요종목/ 철강 중소형
정부, 日·中 열연강판 반덤핑 조사 착수 소식에 일부 관련주 상승
▷언론에 따르면, 정부가 국내 철강산업 보호를 명분으로 일본·중국산 열연제품에 대한 반덤핑(Anti-Dumping·AD) 조사에 나설 것으로 전해짐. 이와 관련, 산업통상자원부 무역위원회는 조사 착수 방침을 정하고 이를대상 업체들에게 통보할 예정이며, 산업부 무역위원회 관계자는 이번 조치와 관련 "내일 회의를 개최하고 (조사 개시 여부에 대해) 이달 말께 관보에 게재하게 될 것"이라고 설명.
▷한편, 현대제철은 지난해 12월19일 일본 및 중국산 열연강판에 대한 반덤핑 여부 조사해달라고 정부에 제소했고, 법에 따라 2개월 후인 이날까지 조사개시 여부를 업계에 통보해야 하는 상황이었음. 정부의 조사 착수 대상은 제소 당사자인 현대제철과 반덤핑 조사 대상으로 지목된 일본과 중국의 철강업체가 해당함.
▷이 같은 소식에 포스코스틸리온, POSCO홀딩스, TCC스틸, 동국산업 등 일부 철강 주요종목/철강 중소형 테마가 상승.
내일일정
02월 20일 목요일
1. 모티브링크 신규 상장
모티브링크는 친환경 자동차 전력변환 솔루션 기업 공모가는 6,000원으로 확정되었으며, 181억 원을 조달하여 연구개발, 생산시설 확장, 베트남 시장 진출 등에 사용할 계획
2. 中) 2월 대출우대금리(LPR) 발표
3. 마이클 바 연준 부의장 연설(현지시간)
4. 필립 제퍼슨 연준 부의장 연설(현지시간)
5. 아드리아나 쿠글러 연준 이사 연설(현지시간)
6. 오스탄 굴스비 시카고 연준 총재 연설(현지시간)
7. 알베르토 무살렘세인트루이스 연은 총재 연설(현지시간)
8. 트럼프 우크라 특사, 키이우 방문 및 종전안 논의(현지시간)
9. 헌법재판소, 尹 대통령 탄핵심판 10차 정식변론
10. 尹 대통령, 구속취소 심문기일
11. 尹 대통령 형사재판
12. 여·야·정 국정협의회 개최
13. 산업부, 중국산 후판 반덤핑 조치 여부 관련 회의
14. 삼성생명, 삼성화재 자회사 편입 방안 발표
15. 위메이드, '레전드오브이미르' 출시
16. 애니젠, 난임치료약물 FDA 사전심사일
17. 2월 소비자동향조사 결과
18. 2월 국고채 모집 방식 비경쟁인수 발행 여부 및 발행계획
19. 1월 생산자물가지수(잠정)
35. 美) 2월 필라델피아 연준 제조업지수(현지시간)
36. 美) 주간 신규 실업수당 청구건수(현지시간)
37. 美) 1월 경기선행지수(현지시간)
38. 美) 주간 원유재고(현지시간)
39. 美) 월마트 실적발표(현지시간)
40. 독일) 1월 생산자물가지수(PPI)(현지시간)
美 증시 흐름 및 반도체 업황 개선 기대감이 시장 상승 동력을 제공할 가능성 높아졌습니다. 하지만 너무 낙관적 관점은 금물!! 아직까지 추세는 없음을 인지하고 변동성에 대응합시다. 수고 많으셨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