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구리3

주간 테마 동향 (24년 5월 1주차) ; 긍정과 부정의 공존인 5월 FOMC 회의, 차별화가 심한 1분기 어닝 결과, 테슬라/애플의 약진, #유리기판, #중국 소비 관련 등. 1. 글로벌 (미국)  시장 동향   4월은 신흥국 up, 원자재 up5월 FOMC 회의긍정 vs. 부정의 공존긍정부정1. 금리의 정점2. 스테그플레이션 없음.3. QT 테이퍼링1. 더 큰 확신 필요(자신감 후퇴)2. 노동시장의 약화3. 통화정책 시차, 누적 효과1분기 어닝기업별 격차 극심..AMD, 인텔 부진(반도체 ↓)  4/29(월) ; 3월 PCE 예상 부합- 미국 증시 상승..나스닥 2월 이후 최대 상승폭- 미국 3월 근원 PCE, YoY 2.8%상승- 중동 긴장 지속..WTI 배럴당 $83대 마감- 이번주 FOMC, 애플/아마존 실적 발표 4/30(화) ; 테슬라(FSD 자율주행), 애플↑  - S&P500, 3거래일 연속 상승- 테슬라 15% 급등..중국 바이두 FSD 서비스 출시- 달러/엔.. 2024. 5. 5.
24.4.15 (월) 전일 미장 브리핑 및 특징테마 : 미국-중동 지정학적 긴장감 고조로 하락, 미시건대 소비자 심리관련 지표 하락, 한국-환율 우려에 수급 대응 필요, 3월 반도체 수출 호재로 인한 기.. 1. 전일 美장 브리핑 중동 지정학적 리스크 - 지정학적 긴장 고조..미국 증시 1%대 하락 - S&P500, 지난해 11월 이후 50일이평 장중 하회 - 3월 미국 수입 물가 상승폭 확대 (유가상승영향) - 미시간대 '장단기 기대인플레 3%로 상승' - VIX 16% 넘게 상승...23년 10월 이후 최고 장중 변화 요인 미 증시는 이란과 이스라엘 간 지정학적 긴장감 고조되며 차익실현 및 안전자산 선호 현상 강화에 하락. S&P500 지수는 지난해 11월 이후 50일이평 장중 하회하는 모습 연출. 한편, 4월 미시건대 소비자심리지수는 79.4 -> 77.9로 악화, 기대인플레는 2.9->3.1 상승. 가솔린 가격과 상관 관계 (-)가 높은 편. 특징 종목 JP모건(-6.5%) 시장 예상을 상회하는 실적.. 2024. 4. 15.
24.3.14 (목) 시황 및 특징테마 - 미 증시 국채수익률 상승에 혼조 마감, 한국 <4마녀의 날>, 코스피 외인/기관 금융주 위주 매수세 유입으로 2700선 회복. 1. 전일 美장 브리핑 국채금리 - 예런 '주거비 오름세 완화..인플레 낮아질 것' - 비트코인 7.3만 달러 돌파..ETF유입액 최대 - 니혼게이자이 'BOJ, 마이너스 금리 해제 논의' 장중 변화 요인 미 증시는 국채수익률이 3거래일 연속 상승하고 반도체와 일부 대형기술주에 대한 매물 출회에 혼조 마감. 특징 종목 에너지/소재 섹터 상승 마감. IT, 부동산 약세 마감. 구리 가격 상승에 따른 관련 종목 상승 (7개월 만에 최고치를 기록) 마이크로 스트래티지 (+11%) 비트코인 재차 역사적 신고가 기록에 강세 테슬라 (-4.54%) 웰스파고 '테슬라 투자의견 비중축소' 발표로 약세. 연초대비 -34% 하락 중 로열 캐리비언 크루즈 (+1.83%) 크루즈 관련주 상승, 가니발 등 강세 마감 인텔 (-.. 2024. 3. 13.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