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마이코플라스마2

23.12.05 (화) 시황 및 특징테마, 달러강세, 차익실현, 기관의 양지수 매도 (너무 민감한 거 아니야!!), 코스피 2500 하회 1. 전일 美장 브리핑 경계 뉴욕증시, 고점 부담 속 차익실현 모습 국채금리 상승, 달러강세 러셀(중소형주)는 상승 마감 3개월, 6개월 국채 입찰... 상대적 견조한 수요 확인에 의한 낙폭이 줄어듦 반도체, 소프트웨어 등 차익실현 모습이 강했음 유가..3거래일 연속 약세 (OPEC+ 감산에도 불구) [] - 공장주문 둔화 ; -3.6% 감소 (20년 팬더믹 이후 가장 큰 폭의 하락) ; ISM 제조와 공장주문은 상당히 많은 상관관계가 있음 - 경기 서프라이즈 지수 (경제 지표의 예상치와 발표치간의 GAP) ; 미국은 지속적으로 하락 中, 유로존은 여전히 마이너스에 위치하고 있지만 꾸준히 올라오고 있다. ; 미국 경제가 냉각되고 있다 -> 금리인하 - 노동시장 냉각? 둔화? ; 컨퍼런스 보드고용동향 지수.. 2023. 12. 5.
23.11.10 (금) 시황 및 특징테마, 미국채 금리 상승, 달러강세, 파월의장의 매파적 발언 등 아시아 증시 전반 약세 지속, 증시 유동성 사막화 1. 전일 美장 브리핑 파월의 '발언' 유동성 파월 경고에 시장 긴장... 아시아 증시 동반 약세 "정책 충분히 제약적인지 확신 없어" 미국채 30년물 수요 부진,...채권가격 하락, 금리 상승 블랙록 ETF 승인 기대..이더리움 $2000 상회 [파월의 발언] - "우리는 충분히 제한적인 입장을 달성했다고 확신하지 않는다" - "연준은 더 많은 조치가 필요한지를 판단하기 위해 노력 그 다음이 얼마나 오래 높게 유지할 것인지에 고려" [역레포 급감] ; 유동성 흡수 장치 - 역Repo 잔고 추이가 23.04부터 하락하여 21.07수준까지 내려왔다. (가파르게 내려왔다) - 증시는 유동성의 함수 -> s&p500 과 연준 순유동성간의 상관관계는 매우 높기에 증시에 부담이 된다. ** 순유동성 = 연준자산 .. 2023. 11. 10.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