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THE 원칙 지키미입니다.
오늘의 KRX 마감 브리핑 및 특징 테마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국내 증시 마감 브리핑
그간 바쁜 업무에 너무 늦게 시장을 들여다 봅니다.
지난 화요일 국내 증시는 어땠는지 볼까요?
2025.01.14 화요일 KRX 증시 종합 |
|
2025년 1월 14일 KRX 마감 시황 요약
주요 지수 동향
- KOSPI: 2,497.40p (+0.31%) – 3일 만에 상승
- 아시아 증시 혼조세 속에서도 전기·전자주 및 운송장비 중심으로 저가 매수세 유입, 상승 마감.
- 업종별: 오락·문화(+1.7%), 운송장비·부품(+1.1%), 화학(+0.8%), 일반서비스(+0.7%).
- KOSDAQ: 718.04p (+1.39%) – 3일 만에 상승
- 외국인·기관 매수세와 2차전지주 강세로 상승세 확대.
- 업종별: 오락·문화(+4.0%), 금융(+3.4%), 전기·전자(+2.5%).
투자자별 동향
- KOSPI: 개인 매수(+2,987억 원), 외국인(-2,954억 원), 기관(-580억 원) 매도.
- KOSDAQ: 외국인 매수(+809억 원), 기관 매수(+623억 원), 개인 매도(-1,390억 원).
기타 주요 지표
- 환율: 원/달러 1,463.2원 – 2일 연속 강세
- 국제유가: WTI 78.82달러 – 3일 연속 상승
해외 증시
- 다우: +0.9%, 나스닥: -0.4%, DAX: -0.4%, 니케이: -1.8%, 상해종합: +2.4%, 홍콩 HSI: +1.9%.
특징테마
금일 특징테마
25.01.14 화요일 특징테마 |
이 슈 요 약 |
2차전지/ 전기차/리튬 등 |
테슬라(+2.17%) 주가 상승, 테슬라 '뉴 모델Y' 차세대 2170 원통형 배터리 탑재에 따른 수혜 기대감 등에 상승 |
▷지난밤 뉴욕증시서 테슬라(+2.17%)가 모건스탠리의 긍정적 분석 등에 상승. 모건스탠리는 테슬라가 강세 시나리오에서 최대 800달러까지 급등할 것으로 전망. 이는 테슬라 주가 대비 100% 이상 높은 수준임. 모건스탠리는 고객들에게 보낸 서한에서 테슬라가 올해도 경이로운 상승랠리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한다며, 인공지능(AI) 기반의 로보택시가 핵심이 될 것이라고 밝힘. ▷이어 테슬라는 현재 로봇과 자율주행 분야에서 선도적인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면서 앞으로 차량 소유자를 구독자로 전환해 높은 수익성과 반복적인 매출을 창출하게 될 것으로 전망. 이에 테슬라가 기본 시나리오에서 2040년까지 약 750만 대의 자율주행차를 공급하고, 강세 시나리오에서는 같은 기간 동안 약 1,200만 대의자율주행차를 공급할 것으로 전망. ▷아울러 테슬라의 지난해 판매량이 독일의 유명 완성차 업체 아우디를 추월했다는 소식도 전해짐. 지난해 테슬라는 모두 177만대를 인도했는데 반해 아우디는 167만대에 그쳤음. 테슬라가 아우디를 제친 것은 사상 처음임. ▷업계에따르면, 테슬라가 출시하는 신형 모델Y에는 소재 조성을 바꾼 2170(지름 21㎜·높이 70㎜) 원통형 배터리가 탑재될 예정. 니켈 함량이 기존 90%에서 95%로 높아진 신형 양극재가 탑재되고 음극재도 공급사가 달라지는 것으로 파악됐음. 테슬라는 신차 출시에 맞춰 배터리 업그레이드를 추진해왔는데 국내 소재 업체인 엘앤에프가 양극재를, 대주전자재료가 실리콘 음극재 공급을 맡을 예정. ▷이 같은 소식 속 에코프로비엠, 에코프로, 삼성SDI, LG에너지솔루션, 엘앤에프, 대주전자재료 등 2차전지/전기차/리튬 등 테마가 상승. |
|
광고 | 中 당국, 머스크 테슬라 CEO에 틱톡 미국 사업부 매각 검토 소식 등에 상승 |
▷외신에 따르면, 중국 당국이 동영상 플랫폼 틱톡의 미국 사업부를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에게 매각하는 방안을 검토중인 것으로 알려짐. 다만, 중국 당국은 아직 이 방안에 대해 확실한 합의점에 도달하지는 못했으며, 심의 중인 것으로 전해짐. ▷이 같은 중국 당국의 검토는 틱톡이 중국 모회사와의 관계를 끊지 않으면 미국 내 사용을 금지하도록 하는 '틱톡 금지법'이 오는 19일(현지시간) 효력을 발휘할 가능성이 커졌기 때문임. 틱톡 금지법은 틱톡의 모 회사인 중국 바이트댄스가 틱톡의 미국 사업권을 미국 기업에 매각하지않으면 오는 19일부터 미국에서 틱톡을 금지하는 내용을 골자로 하고 있음. ▷한편, 블룸버그가 中 상무부와 바이트댄스, 틱톡 등에논평을 요청했으나 입장을 밝히지 않은 것으로 전해지고 있으며, BBC 방송은 틱톡 측 대변인이 '완전한 허구'에 대해 논평하지 않겠다고 말했다고 보도했음. ▷이 같은 소식 속 모비데이즈, 와이즈버즈, 차이커뮤니케이션, 플레이디, 이엠넷 등 광고 테마가 상승. |
|
유리 기판 | 유리 기판 시장 확대 기대감 지속 등에 상승 |
▷시장조사업체 마켓앤마켓에 따르면, 전세계 유리 기판 시장 규모는 올해 9조원에서 오는 2028년 11조원까지 커질 것으로 전망되고 있는 가운데, SK, 삼성, LG 등 주요 기업들이 유리 기판 시장에 진출하고 있음. 특히, SKC는 미국 자회사 앱솔릭스를 통해 반도체용 유리기판을 개발했고 올해 세계에서 가장 먼저 유리기판 양산에 들어갈 것으로 예상되고 있음. ▷지난 8일(현지시간) 언론에 따르면, 최태원 SK그룹회장이 ‘CES 2025’에서 SKC 유리기판의 엔비디아향 공급을 시사하는 발언을 내놓은 바 있음. 아울러 삼성전기는 세종사업장에 파일럿 라인구축, 올해 고객사 샘플 프로모션을 통해 2027년 이후 양산에 들어갈 계획이며, LG이노텍도 장비 투자를 해 올해 말부터는 유리 기판에 대해본격 시양산(시제품 양산)에 돌입할 것으로 전해짐. ▷유안타증권은 보고서를 통해 AI 산업 성장 및 영역 확장으로 유리기판이 주목받고 있다고 밝힘. 이와 관련, 유리기판은 낮은 열전도율, 평평한 표면 등의 강점 등을 보유하고 있어 미세 소폭 패키징이 가능하며, 소비전력을 줄일 수 있다는 점에서 주목받고 있다고 분석. 이어 개화시점이라는 점에서 장비, 특히 유리를 가공하는 레이저장비에 대한 관심이 이어질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힘. 특히, 필옵틱스에 대해 Glass 기판에 미세홀 가공하는 TGV(Through Glass Via)와 Glass기판을 개별 Unit으로 분리하는 Singluation 등 다수의 장비 라인을 이미 확보하고 있다고 언급. 이어 글로벌 IDM/기판/Glass 업체들의 유리기판에 대한 관심도가 확대되고 있다며, 투자 확대에 따른 수혜가 기대된다고 언급. ▷아울러 엔비디아의 차세대 AI 칩 '블랙웰(Blackwell)'의 발열 문제가 불거지면서 유리 기판 관련주들이 주목을 받고 있음. 언론에 따르면, 엔비디아의 최신 AI 칩 블랙웰은 하이퍼스케일 데이터센터의 핵심 제품으로 주목받았으나, 최근 출고 초기 과열 문제가 불거지며 주요 고객사들의 주문이 연기된 것으로 전해짐. 마이크로소프트(MS), 아마존, 구글, 메타 플랫폼 등이 블랙웰 랙을 대량 주문했으나, 초기 출하분에서 칩 간 연결 방식의 결함과 발열 문제가 발생하며 일부 주문을 줄이거나 연기했음??. ▷이 같은 소식 속 필옵틱스, 기가비스, SKC, HB테크놀러지, 제이앤티씨 등 유리 기판 테마가 상승. |
|
엔터테인먼트/ 음원/음반 | 신인 아티스트 데뷔 기대감 등에 상승 |
▷상반기 신인 아티스트들의 활발한 활동이 예상되며 엔터주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고 있음. 에스엠의 8인조 신인 걸그룹 하츠투하츠는 오는 2월 데뷔할 예정이며, JYP엔터의 7인조 보이그룹 킥플립은 오는 20일 데뷔할 예정. YG엔터는 지난 12월 공식 블로그를 통해 신인 그룹 데뷔 계획을 언급한 바 있음. ▷삼성증권은 에스엠에 대해 25년 2월 한국에서는 8인조 신인 걸그룹 ‘하츠투하츠’가 출격하고, 영국에서는 5인조 보이그룹 ‘디어앨리스’가 정식 데뷔할 예정이라며, 아티스트 IP 확장으로 모멘텀 본격화가 예상되고, 자회사 수익성도 개선될 것이라고밝힘. 전일 미래에셋증권은 JYP Ent.에 대해 25년 매출 7,284억원(+26% YoY), 영업이익 1,614억원(+30% YoY)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 주가 상승을 견인한 스트레이키즈의 미주 지역 투어가 5-6월 진행된다며, 밸류에이션의 추가 상향이 가능하다고 설명. 아울러, 신인 Kickflip의 지표도 주요 포인트로 유튜브 공식 계정에 선공개한 응 그래 뮤직비디오는 2일차 1,100만회, 일주일에 1,300만회의 높은 조회수를 보이고 있어 1 월20일 정식 데뷔 이후 지표에 주목해야 한다고 밝힘. ▷언론에 따르면, 2025년은 한국이 APEC(아시아태평양 경제협력체) 의장을, 2026년은 중국이 의장을 맡게 돼 현 의장국과 차기 연도 의장국 간 교류에서 콘텐츠 개방에 대한 논의가 이뤄질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알려짐. ▷이 같은 소식에 JYP Ent., 에스엠, 와이지엔터테인먼트 등 엔터테인먼트/음원/음반 테마가 상승. |
|
조선/ 조선기 자재/ 해운 | 美 정부, 中 조선·해운 관련 불공정 보고서 발표 예정 등에 상승 |
▷외신에 따르면, 중국이 세계 조선·해운시장을 장악하기 위해 각종 불공정한 수단을 동원해 왔다고 미국 정부가 결론지었다고 전해짐. 미국 무역대표부(USTR)는 지난해 2024년 4월부터 진행한 조사 결과 중국이 조선·해운을 '장악 목표 산업'으로 삼아 자국 산업에 특혜를 몰아준 것으로 판단. 중국 정부가 사용한 불공정 수단으로는 자국 기업에 대한 금융 지원, 외국 기업에 대한 장벽 강화, 강제적인 기술이전과 지식재산권 탈취 등이 거론됐음. 보고서에는 "중국 정부가 자국의 조선·해운 산업 인건비를 의도적으로 가혹하게 억눌렀다"는 내용도 포함. ▷USTR는 금주 후반께 조사 결과를 공식 발표할 예정으로 이 보고서가 차기 행정부에 관세 부과나 중국에서 건조된 선박에 대한 항구 이용료 부과 등 중국을 상대로 사용할 새로운 무기를 제공할 수 있다고 전해짐. 퇴임을 앞둔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행정부에서 내려진 판단이지만, 도널드 트럼프 차기 대통령 당선인도 대(對)중국 강경 기조를 공유하는 만큼 향후 정책 결정에도 영향을 미칠 전망임. ▷아울러 오는 20일(현지시간) 트럼프 당선인 취임식을 앞두고 트럼프 2기 수혜 기대감도 지속. 트럼프는 지난 6일(현지시간) “우리는 선박이 필요하지만 배를 더 이상 만들지 않는다”며 “선박 건조와 관련해 동맹국을 이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힌 바 있음. ▷한편,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전일 정부세종청사 인근 식당에서 출입 기자들과 간담회를 갖고 미국 조선업 강화를 위한 '선박법'을 공동 발의한 토드 영 상원의원(공화·인디애나) 등을 만나 한미 조선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고 밝힘. 이어 안 장관은 트럼프 행정부는 해군력을 강화하고, 관련된 조선업을 강화하려는 깊은 수준의 제도 개편을 하려고 하고 있어 조만간 여러 발표가 나올 것이라고 언급. ▷이 같은 소식 속 한화오션, 삼성중공업, 현대힘스, 일승, 동방선기, 케이에스피 등 조선/조선기자재 및 STX그린로지스, 흥아해운, 팬오션 등 해운 테마가상승. |
|
마이코플라스마 폐렴/ 코로나19(진단/치료제/백신 개발 등)/ 의료기기 | 독감, 코로나19 등 전염병 확산 지속 등에 상승 |
▷언론에 따르면, 독감을 비롯해 코로나19, 호흡기세포융합바이러스(RSV) 감염증 등 다른 호흡기감염병 환자도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짐. 최근 질병청에 따르면, 1월 첫째 주(2024년12월29일~2025 년1월4일) 전국 300곳 표본 감시 의료기관을 찾은 외래환자 1,000명당 인플루엔자 증상을 보인 환자(의사환자) 수는 99.8명으로 집계됐음. 이는 한 주 전보다 약 1.4배 증가한 것으로, 호흡기 표본감시체계가 구축된 2016년 86.2명 이후 8년 만에 최대 규모임. ▷아울러 일본에서 인플루엔자(독감) 감염이 가파르게 늘며, 환자 수가 통계 작성 이래 최대치를 보이고 있다고 전해짐. 도쿄도 타치가와시에 위치한 한 클리닉에서는 발열 환자가 지난달 말부터 급증해 하루 평균 100명 안팎에 달했는데, 대부분이 인플루엔자였으나 10% 정도는 코로나19로 확인됐다고 알려짐. 이러한 상황에서 두 질환을 동시에 판별할 수 있는 검사 키트에 대한 수요가 급등하고 있지만, 유통업체들은 키트 출하량을 제한하거나 일정 부분 조정에 들어간 것으로 알려짐. ▷이 같은 소식 속 수젠텍, 인트론바이오, 오상헬스케어, 오상자이엘, 유투바이오, 진매트릭스, 진시스템 등 마이코플라스마 폐렴/코로나19/의료기기 등 테마가 상승. |
|
영상콘텐츠 | 올해 드라마 편성 회복 싸이클 진입 전망 등에 상승 |
▷하나증권은 드라마 제작사에 대해 2025년은 3년 간 이어진 편성 하락을 반전시키는 해가 될 것으로 전망. 특히, 하반기 TVN의 수목드라마 외에도 JTBC 역시 확대될 것으로 예상되며, SBS도 넷플릭스의 드라마 투자가 본격화되는 2026년부터 가파른 성장이 기대된다고 언급. 아울러 최근 드라마에서 12부작 작품이 많아지고 있는데, 최근 트렌드에 맞춰 드라마 호흡이 굉장히 빨라지고 있다는 점과 제작비 부담이 완화된다는 점에서 매우 긍정적인 흐름이라고 판단. ▷또한, 상반기보다는 하반기에 편성 확대가 집중되어 있으며, 콘텐트리중앙은 2분기에 글로벌 OTT와의 리쿱율 재계약이 시작되는 바 상반기보다는 하반기 실적과 주가가 더 긍정적일 것으로 예상. ▷이와 관련, SBS, 에이스토리, CJ ENM, 스튜디오드래곤 등 영상콘텐츠 테마가 상승. |
내일일정
01월 15일 수요일
1. 美) 12월 소비자물가지수(현지시간)
2. 美) 연준 베이지북 공개(현지시간)
3. 바이든 대통령, 대국민 고별 연설(현지시간)
4. 토마스 바킨 리치먼드 연은 총재 연설(현지시간)
5. 닐 카시카리 미니애폴리스연은 총재 연설(현지시간)
6. 존 윌리엄스 뉴욕 연은 총재 연설(현지시간)
7. 오스탄 굴스비 시카고 연준 총재 연설(현지시간)
8. 금융위 산하 가상자산위원회, 회의개최
9. 산업경쟁력강화 관계장관회의 개최
10. 대한민국 교육박람회 개최
11. 샤오미, 새 스마트폰 공개
12. 컴투스, 신작 '갓앤데몬' 글로벌 출시
13. 금호타이어 1조 투자...첫 유럽공장 짓는다 보도에 대한 조회공시답변 관련 재공시 기한
14. 12월 국제금융/외환시장 동향
15. 12월 금융시장 동향
16. 12월 수출입물가지수 및 무역지수(잠정)
17. 12월 및 연간 고용동향
18. LG디스플레이 실적발표
35. 美) 1월 뉴욕주 제조업지수(현지시간)
36. 美) 주간 MBA 모기지 신청건수(현지시간)
37. 美) 주간 원유재고(현지시간)
38. 美) JP모건체이스 실적발표(현지시간)
39. 美) 골드만삭스 실적발표(현지시간)
40. 美) 블랙록 실적발표(현지시간)
41. 美) 씨 티그룹 실적발표(현지시간)
42. 美) 웰스파고 실적발표(현지시간)
43. 유로존) 11월 산업생산(현지시간)
44. 독일) 연간국내총생산(GDP) 성장률(현지시간)
45. 영국) 12월 소비자물가지수(CPI)(현지시간)
46. 영국) 12월 생산자물가지수(PPI)(현지시간)
47. 日) 12월 공작기계수주(예비치)
오늘도 고생 많으셨습니다. 언능 국내 정세가 안정되길 바라는 맘에서...
화이팅~
728x90
반응형
'STOCK > 시황 및 특징테마' 카테고리의 다른 글
25.01.16 (목) KRX 증시 브리핑 및 특징 테마 - 보안주, 2차전지, 반도체 (2) | 2025.01.17 |
---|---|
25.01.15 (수) KRX 증시 브리핑 및 특징 테마 - 해운, 조선, 양자암호 (1) | 2025.01.16 |
25.01.13 (월) KRX 증시 브리핑 및 특징 테마 - LA 산불 복구, 우크재건, 화장 (1) | 2025.01.13 |
25.01.10 (금) KRX 증시 브리핑 및 특징 테마 - 우크재건, LA화재(전력망), 조선 (1) | 2025.01.11 |
25.01.09 (목) KRX 증시 브리핑 및 특징 테마 - 유리기판, 반도체, 전고체 (1) | 2025.01.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