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THE 원칙 지키미입니다.
오늘의 KRX 마감 브리핑 및 특징 테마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전일 주도 테마
12월 2일 특징 테마 요약
1. 음원/음반/엔터테인먼트
- 상승요인: 내년 엔터 업종의 견조한 주가 회복 전망 및 KPOP IP, 글로벌 투어 확대 기대.
- 관련종목: 아센디오, 와이지엔터테인먼트, JYP Ent.
2. STO(토큰증권 발행)/NFT/가상화폐
- 상승요인: 가상자산 과세 2년 유예 및 토큰화 개혁 기대감.
- 관련종목: 우리기술투자, 컴투스홀딩스, 한화투자증권.
3. 2차전지/전기차
- 상승요인: 테슬라 주가 상승과 전기차 보조금 폐지 우려 속 경쟁 우위 평가.
- 관련종목: LG에너지솔루션, 삼성SDI, 에코프로비엠.
4. 드론(UAM)
- 상승요인: 머스크의 드론 교체 발언 및 K-UAM 드림팀 실증 테스트 모멘텀.
- 관련종목: 제이씨현시스템, 켄코아에어로스페이스, 한국항공우주.
5. 게임/모바일게임
- 상승요인: 내년 신작 출시 기대감 및 게임 본업 집중.
- 관련종목: 크래프톤, 넷마블, 컴투스.
6. 방위산업
- 상승요인: L-SAM 개발 완료 및 양산 예정 소식.
- 관련종목: 삼현, 웨이비스, 한화에어로스페이스.
7. 자율주행차
- 상승요인: 테슬라 자율주행 소프트웨어(FSD) 신규 버전 출시.
- 관련종목: 퓨런티어, 에스오에스랩, 넥스트칩.
8. 전선/전력설비
- 상승요인: 메타의 100억 달러 해저 광케이블 구축 소식.
- 관련종목: LS마린솔루션, LS.
9. 양자암호
- 상승요인: 양자컴퓨팅 기술 상용화 기대감 및 관련 주 급등.
- 관련종목: 엑스게이트, 케이씨에스, 드림시큐리티.
10. 태양광에너지
- 상승요인: 미국 동남아산 태양광 제품 반덤핑 관세 부과 예비 결정.
- 관련종목: 한화솔루션, OCI, KC그린홀딩스.
금일 일정
12월 03일 화요일 1. 아드리아나 쿠글러 연준 이사 연설(현지시간)
2. 오스탄 굴스비 시카고 연준 총재 연설(현지시간)
3. 나토 외교장관회의(현지시간)
4. 국무회의 개최
5. 중추신경계(CNS) 국제 학회 개최(현지시간)
6. 한국MS, 'MS AI 트랜스포메이션 주간' 개최
7. 한국원전수출산업협회, 원전수출 및 안전전문 국제전시회 개최
8. 11월 소비자물가동향
15. 美) 10월 구인 및 이직(JOLTs) 보고서(현지시간)
16. 美) 세일즈포스 실적발표(현지시간)
|
국내 증시 마감 브리핑
12월 3일 마감시황 요약
국내 증시
- KOSPI
- 지수: 2,500.10 (+1.86%)
- 상승 이유:
- 아시아 증시 전반 상승.
- 연말 배당 기대감에 따른 금융주 강세.
- 외국인과 기관의 동반 매수.
- 업종 동향:
- 전반적 강세. 보험업 (+5.0%), 증권 (+4.2%), 철강금속 (+4.0%).
- 투자자 동향:
- 외국인: 금융업 +2,904억 원, 서비스업 +846억 원 등.
- 기관: 총 +2,791억 원 매수.
- 개인: -8,355억 원 매도.
- KOSDAQ
- 지수: 690.80 (+2.21%)
- 상승 이유:
- 나스닥 강세 영향.
- 제약주 중심 외국인 매수 유입.
- 업종 동향:
- 화학 (+6.3%), 제약 (+3.0%), 섬유의류 (+2.8%).
- 투자자 동향:
- 외국인: +2,328억 원 매수.
- 기관: -212억 원 매도.
- 개인: -2,209억 원 매도.
기타 금융시장
- 원화 환율: 원/달러 1,403.0원 (+1.3원), 4일 연속 약세.
- 국제유가: WTI 68.1$/배럴 (+0.15%), Brent 71.83$/배럴.
- 채권: 한국 국채 3년물 +1.9bp(2.587%), 10년물 +2.0bp(2.718%).
해외 증시
- 미국 나스닥: +1.0%, 기술주 중심 강세.
- 독일 DAX: +1.6%, 경기 회복 기대.
- 일본 니케이: +1.9%, 경제 부양 기대감.
요약
- KOSPI와 KOSDAQ 모두 3일 만에 반등하며 강세를 기록.
- 외국인과 기관의 금융주 매수세가 지수 상승 주도.
- 원화는 약세 지속, 국제유가는 소폭 상승.
특징테마
금일 특징테마
12/3 화 | 이 슈 요 약 |
반도체 관련주 |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 급등, 美 상무부 대중국 HBM 수출 통제 발표 속 상승 |
▷지난밤 뉴욕증시가 주요 경제지표 대기, 기술주 랠리 속혼조 마감한 가운데,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128.76(+2.61%) 상승한 5,055.32를 기록. 엔비디아(+0.27%), AMD(+3.56%), TSMC(+5.27%), 마이크론테크놀로지(+0.61%) 등 주요 반도체 업체들이 상승 마감했음. ▷美 상무부 산업안보국(BIS)은 2일(현지시간) 관보를 통해 '중국의 군사용 첨단 반도체 생산능력 제한을 위한 수출통제 강화' 방안을 발표하고 수출통제 대상 품목에 특정 HBM 제품을 추가한다고 밝힘. 특히, 상무부는 이번 수출 통제에 해외직접생산품규칙(FDPR)을 적용했으며 이에 따라 한국에서 미국 기술로 만드는 일부 반도체 장비와 부품의 중국 수출이 제한될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음. 시장에서는 삼성전자의 경우 HBM 일부를 중국에 수출하고 있어 이번 수출 규제에일부 영향을 받을 것으로 보이는 반면 SK하이닉스는 현재 HBM 전량을 미국에 공급하고 있어 당장엔 큰 영향이 없을 것으로 분석되고 있음. ▷한편, 언론에 따르면, 정부는 "SK하이닉스는 대부분 HBM을 미국 기업인 엔비디아에 공급하고 있고, 삼성전자가 일부 사양이 낮은 HBM 을 중국에 수출하지만 매출 대비 비중은 작은 것으로 안다"며 "전체적으로 한국 기업에 끼치는 영향이 적은 것으로 파악한다"고 밝힌 것으로전해짐. 아울러 미국의 이번 HBM 대중 수출 통제가 HBM을 중국에 직접 수출하는 경우에만 해당하고, 로직칩 등과 함께 패키징된 HBM은 포함되지 않는다면서 "향후 미국 규정이 허용하는 수출 방식으로 전환함으로써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을 전망"이라고 설명. ▷이 같은 소식 속 SK하이닉스, DB하이텍, 한미반도체, 한화인더스트리얼솔루션즈, 이오테크닉스, 예스티, 퀄리타스반도체, 에이직랜드, 주성엔지니어링, 디아이티 등 반도체 관련주가 상승. |
|
전선/ 전력설비 | 업황 호황에 따른 수익성 개선 전망 등에 상승 |
▷NH투자증권은 보고서를 통해 글로벌 전력케이블 회사 Prysmian, NKT, NEXANS는 모두양호한 3분기 실적을 기록했다며, 이는 양호한 수익성의 수주잔고를 바탕으로 한 EHV(Extra High Voltage) 케이블의 매출 확대와 북미·유럽전력케이블 시장의 호황에 따른 HV(High Voltage)부터 LV(Low Voltage)까지의 케이블 부문 이익 개선에 기인했다고 밝힘. ▷이와 관련 국내 업체들도 이와 같은 흐름에 동참하는 중이라며, 특히 LS전선과 대한전선의 3분기 수주잔고는 각각 5.7조원, 2.3조원으로 해외 경쟁사와 유사한 수주 흐름을 보이고 있다고 언급. 해외 경쟁사와는 지역 차에 따른 시차와 생산 설비에 따른 수주 규모 차가 있지만, 제품에 적용된기술수준의 차이나 고객사의 격차는 현저히 줄어든 모습을 보이고 있다고 설명. 아울러 두 회사 모두 증설 중인 해저케이블 증설 및 신규 공장이 완성될 경우 수익성이 유의미하게 개선될 전망이라며, 특히 해상풍력용 해저케이블은 현재 국내와 해외의 증설분을 감안하더라도 유럽의 설치량만 충족할 수 있는 수준이라고 밝힘. ▷이 같은 분석 속 LS, 대한전선, LS에코에너지, LS마린솔루션, 산일전기, 효성중공업, LS ELECTRIC 등 전선/전력설비 테마가 상승. |
|
화장품/ 국내 상장 중국기업/ 면세점 등 | 한국 화장품 수출 규모 역대 최대 소식 및 중국 경기 회복 기대감 부각 등에 상승 |
▷전일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올해 1월부터 11월까지 한국 화장품 수출 규모가 93억 달러(잠정·약 13조원)로 역대 최대였던 지난 2021년 전체 수출액(92억 달러)을 뛰어넘었다고 밝힘. 화장품 수출은 14년 이후 지난 9년간 지속적인 성장세를 보였으며, 수출 증가세는 올해도 계속돼 10월에는 한 달동안 10억 달러 이상의 수출실적을 기록. 이에 따라 올해 한국 화장품의 해외 수출액이 100억달러를 넘어설 것으로 전망. ▷중국 경기 회복 기대감도 커지고 있음. 전일 차이신과 S&P 글로벌에 따르면, 中 11월 차이신 제조업 PMI는 51.5를 기록. 이는 시장 예상치인 50.5를 웃도는 수치로, 지난 6월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으며, 전월치인 50.3도 상회했음. 또한, 중국 국가통계국은 지난 30일 올해 11월 제조업 PMI가전월보다 0.2 상승한 50.3으로 집계됐다고 밝힘. 지난 4월 이후 7개월 만에 최고 수준으로, 로이터와 블룸버그통신이 각각 내놓은 시장 전망치 50.2도 웃돌았음. 시장에서는 中 경기 부양책에 따른 낙수 효과 및 트럼프 대통령 당선인이 중국에 고율 관세를 부과하기 전에 미리 주문을 해두려는 움직임이 있었던 것으로 분석하고 있음. ▷한편, 아모레퍼시픽그룹의 자회사 에뛰드는 다음해 1월1일부터 단색 섀도우 ' 룩 앳 마이 아이즈' 가격을 종전 5,500원에서 6,000원으로 약 9% 올릴 예정. 이와 관련, 에뛰드 관계자는 "계속되는 원자재 및 인건비 상승등 외부요인으로 인해 일부 품목의 가격을 부득이하게 인상하게 됐다"고 밝힘. ▷이 같은 소식 속 제닉, 브이티, 삐아, 실리콘투, 아이패밀리에스씨, 코스메카코리아 등 화장품 테마가 상승. 헝셩그룹, 윙입푸드, 이스트아시아홀딩스 등 국내 상장 중국기업, 토니모리, 현대백화점, 글로벌텍스프리, 신세계, HDC, 호텔신라, GKL, 강원랜드 등 면세점/카지노 테마 등이 상승. |
|
비만치료제 | 삼성화재, 업계 최초 비만치료제 보장 보험 출시 소식 속 상승 |
▷삼성화재는 전일 언론을 통해 '비만동반 주요대사질환 비급여 GLP-1치료비'와 '당뇨 GLP-1 급여치료비' 신담보 2종을 출시했다고 밝힘. GLP-1를 보장하는 '비만동반 주요대사질환 비급여 GLP-1치료비'는 BMI 30 이상이면서 주요대사질환(고혈압, 당뇨, 이상지질혈증) 중 한 개 이상의 질환으로 진단 받은 고객이 상급종합병원에서 GLP-1 계열의 비급여 비만치료제를 처방 받았을 경우 연간 1회 증권에 기재된 보험금을 지급 받는것으로 전해짐. 삼성화재 관계자는 "비만에 대한 인식 전환의 계기를 마련하고 기존에 출시한 비만 수술비와 더불어 비만의 체계적인 보장 세트를 완성했다"며, "앞으로도 고객에게 필요한 새로운 상품을 지속적으로 개발해 제공할 계획"이라고 밝힘. ▷한편, 나이벡은 자체 약물전달 플랫폼 ‘NIPEP-TPP’의 경구제형 연구에서 ‘질병활동지수(Disease Activity Index, DAI)’가 3배 이상 감소하는 효능 을 확인했다고 밝힘. 해당 연구결과로 나이벡의 NIPEP-TPP 기술이 기존 피하주사(SC)제형에서 경구제형으로 확장이 가능해졌으며, 나이벡은 염증성장질환치료제를 시작으로 비만 치료제를 경구제형으로 개발하고 글로벌 제약사와 공동연구를 통해 다양한 신약에 NIPEP-TPP 플랫폼 탑재를 가속화할 방침인 것으로 알려짐. ▷이 같은 소식에 나이벡, 올릭스, 펩트론, 인벤티지랩, 디앤디파마텍, 라파스 등 비만치료제 테마가 상승. |
|
2차전지 등 | 美, 삼성SDI·스텔란티스 합작법인에 10조5,000억원 규모 대출지원 및 LG엔솔-GM 각형 배터리 공동 개발 추진 소식 등에 상승 |
▷언론에 따르면, 미국 정부가 삼성SDI와 스텔란티스간 배터리 합작법인 스타플러스에너지에 10조5,000억원(75억4천만달러)의 대출을 지원할 것으로 전해짐. 美 에너지부는 2일(현지시간) 바이든 정부의 '인베스트 인 아메리카' 정책의 일환으로 이런 조건부 지원을 실시키로 했다고 밝혔으며, 이번 대출은 인디애나주에 스타플러스 에너지의 리튬이온 배터리 및 모듈 공장을 건립하기 위한 것으로 알려졌음. 美 에너지부는 "새 시설에서 생산되는 배터리는 북미 지역 전기자동차(EV)에 사용되도록 스텔란티스에 판매될 예정"이라면서 "이는 급속도로 확장하는 전기차 산업에서 미국이 미국내 수요를 맞추고 글로벌 리더로 남아있을 수 있도록 할 것"이라고 밝힘. ▷아울러 LG에너지솔루션은 언론을 통해 미국 1위 자동차 기업 GM과 '각형 배터리및 핵심 재료 공동 개발을 위한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힘. LG에너지솔루션이 각형 배터리 개발 계획을 공식화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며, 이번협약을 통해 개발되는 각형 배터리는 향후 GM 차세대 전기차에 탑재될 예정임. 또한, 양사가 합작 투자해 미국 미시간주에 건립 중이던 얼티엄셀즈 3공장의 인수도 검토중이라고 밝혔으며, 공장 지분 매각은 내년 1분기 완료될 것으로 알려짐. ▷지난밤 美 증시에서 테슬라(+3.46%)가 자율주행을 목표로 개발 중인 소프트웨어 FSD(Full Self-Driving)의 업그레이드 버전 출시, 투자은행 로스MKM의 투자의견 상향 조정, 스티펠의 목표주가 상향 조정 소식 등에 큰 폭으로 상승한 점도 긍정적으로 작용. ▷이 같은 소식에 금일 LG에너지솔루션, 삼성SDI, SK이노베이션, 엠플러스, 파워로직스, 디아이티, 대주전자재료, 삼아알미늄, 엔켐, 지오릿에너지, 중앙첨단소재 등 2차전지/전기차/리튬 등테마가 상승. |
|
금융주 | 방어주 매력 부각 및 연말 배당 기대감 등에 상승 |
▷하나증권은 은행 업종에 대해 네거티브 요인 발생에도 방어주 매력이 부각됐다고 밝힘. 한은이 기준금리를 2개월 연속 인하하는 등 국내 경기 둔화 우려가 커지고 있고, 트럼프 트레이드에 따른 수출주 센티멘트 악화, 여기에 엔캐리 트레이드 청산 우려까지 국내 증시에 부정적인 요인이 계속 발생하면서 방어주들의 상대적 매력이 부각되고 있는 상황이라고 설명. 한화투자증권은 단기 수익성을 낮추어 보아야 한다는 점에서 톤 다운이 필요하지만, 견조한 주주환원에 의해 이전보다 주가 하방이 높아진 은행업종에 대해 투자의견 Positive를 유지한다고 밝힘. ▷아울러 키움증권은 보험 업종과 증권 업종 관련 연간배당 지급일이 점차 다가옴에 따라 기대배당수익률이 높은 종목의 주가 흐름이 양호할 것이라고 밝힘. 또한, 최근 2차례 기준금리 인하로 국채금리도 하락하고 있는 상황인 가운데, 무위험수익률 하락으로 배당주의 매력도는 추 가 상승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언급. ▷이 같은 분석에 BNK금융지주, KB금융, 신한지주 등 은행 테마가 상승. 유진투자증권, 삼성증권, NH투자증권, 삼성화재, 한화손해보험, 코리안리 등 증권/손해보험/생명보험 테마도 상승. |
|
로봇( 산업용/협동로봇 등)/ 지능형로봇/인공지능(AI) | 협동 로봇 시장 확대 기대감 등에 상승 |
▷iM증권은 보고서를 통해 24.01~09월 미국 협동로봇 수입액은 전년동기대비 10.1% 증가(EU 협동로봇 수입액 전년 동기 대비 11.2% 감소)했다며, 2025년 글로벌 협동 로봇 수요는 미국 시장 성장세로 얼마나 유럽 수요 하락분을 상쇄할 수 있을지가관건이라고 밝힘. 이에 국내 주요 협동로봇 업체들도 2025년 북미 시장 진출을 본격화 할 것으로 전망. 아울러 노동력이 부족하고 고임금에따른 비용 절감 수요가 존재하는 산업은 모두 협동로봇을 채택할 가능성이 높다고 밝힘. ▷한편, 트럼프 정부 내 일론 머스크의 역할에 많은 관심이 쏠리는 중이라며, 여러 해석이 있 지만 휴머노이드와 자율주행 산업 육성이 기대된다고 밝힘. 이는 중국 휴머노이드 산업 견제 목적도 내포하고 있을 것이라며, 중국 대비 열위에 있는 휴머노이드 부품 공급망을 채택하기 위해 자국 및 우방국 내 부품망 구축에 나설가능성 존재한다고 분석. ▷이 같은 분석 속 금일 피앤에스미캐닉스, 두산, 스맥, 고영, 휴림로봇, 알에스오토메이션 등 로봇(산업용/협동로봇 등)/지능형로봇/인공지능(AI) 테마가 상승. |
|
초전도체 | 퀀텀에너지연구소, 초전도체 관련 특허 출원 소식에 상승 |
▷퀀텀에너지연구소는 전일 홈페이지를 통해 '산소 발생 반응용 복합체 전극촉매, 이를 포함하는 수전해 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에 대한 특허를 '한국에너지공과대학교(KENTECH)'와 공동 출원했다고 밝힘. 이는 2023년 6월 양 기관의 공동 연구에 대한 업무협약 체결 후, 2024년 8월 첫번째 응용 특허인 '광활성 재료용 복합체, 이를 포함하는산소 발생 반응용 광전극, 및 이의 제조방법' 출원에 이은 두번째 성과라고 설명. ▷또한, 퀀텀에너지연구소는 2024년11월19일, 러시아 모스코바에 위치한 유라시아특허청(EAPO)으로부터 'ROOM-TEMPERATURE AND AMBIENT-PRESSURE SUPERCONDUCTING CERAMIC AND METHODS FOR PRODCING THE SAME'에 대한 특허 등록 결정서를 수령했다고 밝힘. 이어 위의 내용과 관련하여 국내 특허에 대한 기타의견서를 2024년12월2일자로 한국 특허청에 제출했다고 밝힘. ▷이 같은 소식에 파워로직스, LS ELECTRIC, 신성델타테크, 아모텍, 덕성, 서남 등 초전도체 테마가 상승. |
|
골판지 제조 | 軍, 골판지 드론 100여대 도입 추진 속 상승 |
▷일부 언론에 따르면, 지난달 북한이 개최한 무기 전시회 현장에서 포착돼 새로운 대남 위협 무기로 떠오른 종이비행기 ‘골판지 드론’을 우리 군도 도입할 것으로 알려짐. 골판지 드론은 소형에 소음이 작아 포착이 어려운 데다 종이라는 재질 특성상 레이더에 거의 탐지되지 않으며, 대당 가격도 500만원 안팎으로 가성비가 가장 뛰어난 무기이자 현대전에서 가장 위협적인 무기 중 하나로 꼽히고있음. ▷이와 관련, 군 당국은 현재 소형 골판지 드론 도입과 관련한 막바지 입찰을 진행 중이며, 도입될 드론은 국산으로 연말 무렵납품 계약을 진행해 내년 초 100여 대를 초도 납품받은 뒤 상반기 중 드론작전사령부에 실전 배치할 방침인 것으로 알려졌음. 군은 우선 정찰용 골판지 드론을 운용한 뒤 작전 효용성 등을 평가해 추후 자폭 골판지 드론 도입 및 개발 여부도 검토할 예정. ▷이 같은 소식에 태림포장, 대영포장, 신대양제지 등 골판지 제조 테마가 상승. |
|
항공/저가 항공사(LCC) | 2025년 여객·화물 등 항공사 실적 흐름 긍정적 전망 등에 상승 |
▷LS증권은 보고서를 통해 전통적으로 운송업종은 유가·금리·환율의 함수로 설명되어 왔으나 최근의 업황은 이들 전통적인 거시경기 요소들 뿐만 아니라 전쟁을 비롯한 지정학적 이슈와 기후 변화, 팬데믹~리오프닝, 환경규제, 국제 정치 환경 변화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변수들이 시장 변동성을 심화하는 촉매로서 작용하는 양상이라고 밝힘. 내년에는 또 한 번 저마다의 변화를 맞이할 것이며 산업 생태계의 치열한 변화 속에서 업종 내 옥석가리기가 지속될 것이라고 언급. ▷항공업종의 경우 대한항공-아시아나항공 합병이 비로소 마무리되며 산업 생태계의 재편이 이루어질 것이고 가파른경쟁구도 재편 속에서 몇몇 기업들은 눈에 띄는 반사수혜를 확인할 것이라고 밝힘. 또한, 항공사들의 실적 흐름은 2025년에도 여객·화물 두루 긍정적일 것으로 기대된다고 언급. ▷이 같은 소식 속 아시아나항공, 한진칼, 티웨이항공, 에어부산 등 항공/저가 항공사(LCC) 테마가 상승. |
내일일정
12월 04일 수요일
1. 美) 연준 베이지북 공개(현지시간)
2. 美) 11월 ISM 비제조업지수(현지시간)
3. 美) 11월 ADP취업자 변동(현지시간)
4. 제롬 파월 美 연준 의장 연설(현지시간)
5. 알베르토 무살렘 세인트루이스 연은 총재 연설(현지시간)
6. OECD 12월 세계경제전망(현지시간)
7. 국회 본회의
8. 민주당, 상법 개정안 관련 토론회 개최
9. 최태원 대한상의 회장 중국 방문
10. 경제관계장관회의
11. 한미 핵협의그룹(NCG) 회의 및 NCG 도상연습(TTX) 실시(현지시간)
12. 대한민국 소프트웨어 대전(SOFT WAVE 2024)
13. 엔씨소프트, 신작 '저니 오브 모나크' 글로벌 출시
14. 롯데웰푸드, 롯데상사 합병 추진 보도에 대한 조회 공시 답변 재공시 기한
15. 차바이오텍, '스틱인베, 교환사채로 차바이오텍에 1,500억 투자한다' 보도에 대한 조회 공시 답변 재공시 기한
25. 美) 주간 MBA 모기지 신청건수(현지시간)
26. 美) 11월 합성 PMI 확정치(현지시간)
27. 美) 11 월 서비스업 PMI 확정치(현지시간)
28. 美) 10월 공장주문(현지시간)
29. 美) 주간 원유재고(현지시간)
30. 유로존) 10월 생산자물가지수(PPI)(현지시간)
31. 유로존) 11월 합성 PMI 확정치(현지시간)
32. 독일) 11월 합성 PMI 확정치(현지시간)
33. 영국) 11월 CIPS / S&P 글로벌 합성 PMI 확정치(현지시간)
34. 中) 11월 차이신 서비스업 PMI
35. 中) 11월 차이신 종합 PMI
36. 日) 11월 서비스업 PMI 확정치
![](https://t1.daumcdn.net/keditor/emoticon/friends1/large/008.gif)
오랜만에 외국인이 사주면서 코스피, 코스닥 모두 올랐네요~ 하지만 나만 찜찜한겨?
모두 오늘 수고 많으셨습니다.
'STOCK > 시황 및 특징테마' 카테고리의 다른 글
24.12.05 (목) KRX 증시 브리핑 및 특징 테마 - #반도체 관련주, 이재명, 가상 화폐 (2) | 2024.12.07 |
---|---|
24.12.04 (수) KRX 증시 브리핑 및 특징 테마 - #이재명 관련주, 희토류 (8) | 2024.12.04 |
24.12.02(월) KRX 증시 브리핑 및 특징 테마 - # 엔터, STO, 머스크 관련주 (4) | 2024.12.02 |
24.11.29 (금) KRX 증시 브리핑 및 특징 테마 - # 위생용품, 희토류 (10) | 2024.11.29 |
24.11.28 (목) KRX 증시 브리핑 및 특징 테마 - #2차전지, 제약바이오, CBDC (3) | 2024.11.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