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STOCK/시황 및 특징테마

24.12.09 (월) KRX 증시 브리핑 및 특징 테마 - # 정치 테마주만 상승

by THE 원칙 지키미 2024. 12. 9.
728x90
반응형

KRX 증시 브리핑 & 특징 테마

 

안녕하세요~ THE 원칙 지키미입니다.
오늘의 KRX 마감 브리핑 및 특징 테마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전일 주도 테마

📅 12월 6일 (금)

📊 KOSPI

  • 지수: 2,428.16 (-0.56%)
  • 매매 동향: 외국인 매도(↓), 기관 매도(↓), 개인 매수(↑)
  • 변동 사유: 정치적 불확실성과 원화 약세.

📊 KOSDAQ

  • 지수: 661.33 (-1.43%)
  • 매매 동향: 외국인 매도(↓), 기관 매도(↓), 개인 매수(↑)
  • 변동 사유: 바이오 및 의료정밀기기 섹터 약세.

🏛️ 정치적 이슈

  • ↑ 탄핵 정국 속 변동성 확대.
  • 📈 관련 종목: 에이텍, 일성건설, 오리엔트정공 동신건설

💰 은행

  • ↑ 정치적 리스크에 따른 하락 과도 분석
  • 📈 관련 종목: 신한지주, 하나금융지주, 기업은행

 

금일 일정

12월 09일 월요일

1. 대왕고래 관련 드릴십 웨스트카펠라 부산항 도착
2. 한국거래소, KRX 반도체 TR 등 신규 지수 3종 발표
3. 하나은행, 대환대출 중단
4. 2024년 가계금융복지조사 결과
10. 美) 10월 도매재고지수(현지시간)
11. 美) 11월 소비자 인플레이션 기대치(현지시간)
12. 유로존) 유럽연합(EU) 재무장관회의(현지시간)
13. 中) 11월 생산자물가지수
14. 中) 11월 소비자물가지수
15. 日) 3분기 GDP(수정치)
16. 日) 10월 경상수지
17. 日) 11월은행대출
18. EPL) 토트넘 VS 첼시

국내 증시 마감 브리핑

2024년 12월 9일 KRX 마감 종합 분석

1. 지수 동향과 투자 심리

  • KOSPI (-2.78%)와 KOSDAQ (-5.19%)의 동반 급락
    • KOSPI와 KOSDAQ 모두 4일 연속 하락.
    • 외국인과 기관의 매수에도 불구하고 개인 투자자의 대규모 매도가 지수 하락을 주도.
    • 주요 원인:
      • 중국 증시 부진: 중화권 경제 둔화 우려 확산.
      • 원화 약세: 원/달러 환율 상승(1,437원)으로 외국인 투자 심리 위축.
      • 시총 상위주 약세: 철강금속, 화학, 건설 등 전반적 경기 민감 업종 부진.

2. 업종별 하락 요인

  • KOSPI 주요 하락 섹터
    • 철강금속 (-10.0%): 글로벌 경기 둔화 우려가 철강 수요 감소 전망으로 이어짐.
    • 건설업 (-5.6%): 금리 상승과 경기 침체 우려로 약세.
    • 화학 (-5.0%): 원자재 가격 하락과 수요 둔화.
  • KOSDAQ 주요 하락 섹터
    • 기계/장비 (-6.3%): 경기 민감 업종으로 투자 심리 약화.
    • 운송장비부품 (-6.2%): 수출 둔화 우려.
    • 화학 (-6.1%): 글로벌 시장의 성장 둔화.

 

3. 투자자별 매매 동향 분석

  • KOSPI
    • 외국인과 기관 매수(↑)
      • 외국인: 운수장비, 의약품, 전기전자 중심 매수.
      • 기관: 연기금 및 금융투자 주체의 적극적 매수세.
    • 개인 매도(↓)
      • 주가 하락세와 함께 개인의 대규모 매도 지속.
  • KOSDAQ
    • 외국인과 기관 매수(↑), 개인 매도(↓)
      • 외국인과 기관은 상대적으로 낙폭 과대주 매수에 집중.
      • 개인은 손실 회피 심리로 매도세 이어감.

4. 국제 및 기타 시장 환경

  • 원화 약세
    • 환율 상승으로 외국인 투자 매력 감소, 국내 시장 전반에 부정적 영향.
  • 국제 유가 하락
    • 3일 연속 하락하며 WTI가 67.2달러로 떨어짐. 이는 에너지 섹터에도 부정적.
  • 해외 증시 흐름
    • 미국 나스닥 상승 (+0.8%): 기술주 강세 지속.
    • 중국 상해종합(-0.04%): 경기 부양책 기대감에도 제한적 반응.

5. 향후 전망

  • 주요 리스크 요인
    • 원화 약세가 지속된다면 외국인 매수세가 제한적일 가능성.
    • 글로벌 경기 둔화 우려가 경기 민감 업종에 추가 부담을 줄 수 있음.

특징테마

 금일 특징테마

12/9 월요일 이 슈 요 약
정치/인맥(이재명&조국&안철수&오세훈 등)/ 미디어(방송/신문) 尹 대통령 탄핵정국 지속 속 상승
▷비상계엄 여파로 윤석열 대통령의 탄핵정국이 지속되고 있음. 지난 7일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국회 탄핵소추안 표결이 대부분 국민의힘 의원들의표결 불참에 따라 의결 정족수 부족으로 무산됐음. 한동훈 국민의힘 대표는 ‘질서 있는 퇴진’을 추진하겠다는 입장이지만, 더불어민주당은대통령을 반드시 탄핵하겠다는 입장을 고수했음. 더불어민주당은 오는 11일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탄핵안을 재발의 하고 14일 표결하겠다고밝힘.

▷한편, 경찰은 대통령 수사 가능성에 대해 대상에 인적 제한은 없다고 밝혔으며, 윤석열 대통령,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 이상민 전 행정안전부 장관 등 11명을 고발에 따라 입건한다고 밝힘.

▷이재명 : 에이텍, 오리엔트정공, 프리엠스, 에이텍모빌리티, 수산아이앤티, 카스, 이스타코 
▷ 조국 : 화천기계, 삼보산업
▷ 안철수 : 안랩, 써니전자
▷ 홍준표 : 한국선재, 경남스틸
 

내일일정

12월 10일 화요일

1. 대만) TSMC 11월 매출
2. 국회 본회의(상설특검안 처리 등)
3. 국무회의 개최
4. 노벨상 시상식(현지시간)
5. 사이버 보안 기업 콥데이
6. 미래에셋증권, 서울 여의도 미래에셋증권빌딩 매각 추진 보도에 대한 재공시 기한
7. 삼성카드, 삼성, 26년만에 르노삼성차 지분 정리에 대한 답변 관련 재공시 기한
8. 다보링크, 현저한 시황변동에 대한 조회 공시 답변 재공시 기한
18. 美) 3분기 비농업부문 노동생산성 확정치(현지시간)
19. 美) 3년 만기 국채 입찰(현지시간)
20. 美) 11월 NFIB 소기업 낙관지수(현지시간)
21. 독일) 11월 소비자물가지수(CPI) 확정치(현지시간)
22. 中) 11월 무역수지
23. 日) 11월 공작기계수주(예비치)
24. 日) 11월 광의통화(M2)
 

금주 주요 경제지표 발표 일정 요약

12월 9일 (월)

  • 중국 11월 PPI(생산자물가지수)
    • 예상: -2.8% (전월: -2.9%)
    • 설명: 생산자 물가의 하락세가 둔화되고 있는지 확인할 수 있는 지표로, 제조업 경기 회복 여부를 평가.
  • 중국 11월 CPI(소비자물가지수)
    • 예상: 0.4% (전월: 0.3%)
    • 설명: 중국 내수 소비 회복 여부와 디플레이션 우려를 평가하는 주요 물가지표.
중국 국가통계국이 발표한 11월 경제 지표에 따르면, 소비자물가지수(CPI)와 생산자물가지수(PPI) 모두 예상치를 하회하며 디플레이션 우려가 지속되고 있음.

11월 소비자물가지수(CPI): 전년 동월 대비: 0.2% 상승, 전월 대비: 0.6% 하락
주요 요인: 신선 식품 가격 하락, 특히 기온 상승으로 농산물 생산과 유통이 원활해지면서 식품 가격이 2.7% 하락.

11월 생산자물가지수(PPI): 전년 동월 대비: 2.5% 하락, 전월: 2.9% 하락
주요 요인: 산업 부문의 수요 부진과 원자재 가격 하락으로 인해 생산자 물가의 하락세가 지속.

종합 분석: 11월 CPI와 PPI 모두 예상치를 밑돌며, 중국 경제의 디플레이션 압력이 여전히 존재함을 나타냄. 이는 내수 소비와 산업 생산의 회복이 미흡함을 시사하며, 정부의 추가적인 경기 부양책이 필요할 것으로 보임.

12월 10일 (화)

  • 미국 11월 뉴욕 1년 기대인플레이션
    • 예상: 2.87% (전월: 2.54%)
    • 설명: 단기 소비자 인플레이션 기대치로 연준의 금리 정책 방향에 중요한 시사점 제공.
  • 미국 11월 CPI YoY (소비자물가지수)
    • 예상: 2.7% (전월: 2.6%)
    • 설명: 미국의 물가 상승 속도를 보여주는 핵심 지표.

12월 11일 (수)

  • 미국 11월 코어 CPI YoY (근원 소비자물가지수)
    • 예상: 3.3% (전월: 3.3%)
    • 설명: 에너지와 식료품을 제외한 소비자 물가 변화를 측정해, 연준의 금리 결정에 큰 영향을 미침.
  • 한국 11월 실업률
    • 예상: 2.9% (전월: 2.7%)
    • 설명: 고용 시장 상태를 반영하는 지표로, 경기 둔화 여부 확인 가능.

12월 12일 (목)

  • 유로존 ECB 통화정책회의
    • 예상: 3.15% (기준금리 유지 예상)
    • 설명: 유럽중앙은행(ECB)의 금리 정책 발표로 유럽 경제와 글로벌 금융시장에 영향.
  • 미국 11월 PPI MoM (생산자물가지수 전월비)
    • 예상: 0.3% (전월: 0.2%)
    • 설명: 공급 측 물가 압력을 평가하며, CPI의 선행 지표로 활용 가능.

12월 13일 (금)

  • 미국 11월 수입물가지수 MoM
    • 예상: -0.2% (전월: 0.3%)
    • 설명: 수입 물가 변동을 통해 미국 내 물가 압력과 무역 흐름을 분석.

 

개인의 패닉 sell로 인해 코스닥이 무려 -5% 이상 빠졌다...
현금이 답이다 답!!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