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THE 원칙 지키미입니다.
오늘의 KRX 마감 브리핑 및 특징 테마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전일 주도 테마
12/05 목요일 | 이 슈 요 약 |
반도체 관련주 | 마벨테크놀로지 실적 호조, 美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 강세 영향 등에 상승 |
SK하이닉스, 삼성전자, 테크윙, 오로스테크놀로지, 이오테크닉스, 테크윙, 와이씨, 케이씨텍, 예스티, HPSP | |
정치/인맥(이재명) | 비상계엄후폭풍 속 尹 대통령 탄핵 정국 돌입 등에 상승 |
에이텍, 에이텍모빌리티, 오리엔트정공, 토탈소프트 동신건설, 일성건설, 이화공영 이스타코 | |
가상화폐(비트코인 등)/ 두나무(Dunamu) | 트럼프, 親가상화폐 성향 美 SEC 위원장 지명 및 비트코인 가격 사상 첫 10만달러 상회 소식 등에 상승 |
네오위즈홀딩스, 티사이언티픽, 한화투자증권, SGA, 컴투스홀딩스, 위지트 |
금일 일정
12월 06일 금요일 1. 美) 11월 고용동향보고서(현지시간)
2. 미셸 보우만 연준 이사 연설(현지시간)
3. 오스탄 굴스비 시카고 연준 총재 연설(현지시간)
4. 메리 데일리 샌프란시스코 연은 총재 연설(현지시간)
5. 美 법원, ‘틱톡 금지법’ 적법성 판결(현지시간)
6. 서울교통공사 총파업
7. 교육공무직 노조 총파업
8. 중국 인바운드 활성화 포럼
9. 블랙핑크 로제, 솔로 앨범 발표
10. 트와이스, '스트래티지(STRATEGY)' 발매
11. 3분기 예금취급기관 산업별대출금
12. 10월 국제수지(잠정)
24. 美) 11월 미시건대 소비심리 평가지수 잠정치(현지시간)
25. 美) 10월 소비자신용지수(현지시간)
26. 美) 주간 원유 채굴장비수(현지시간)
27. 유로존) 3분기 국내총생산(GDP) 확정치(현지시간)
28. 독일) 10월 산업생산(현지시간)
29. 영국) 11월 할리팩스 주택가격지수(현지시간)
30. 日) 10월 가계지출
31. 日) 10월 경기동향지수(예비치)
|
국내 증시 마감 브리핑
2024.12.06 금, KRX 마감 시황
- KOSPI: 2,428.16p (-13.69p, -0.56%) 3일 연속 하락.
- 주요 원인: 정치적 불확실성과 원화 약세, 전기전자주 중심 외국인 매도세.
- 업종별 하락: 철강금속 (-5.2%), 의료정밀 (-3.6%), 전기가스 (-2.7%), 통신업 (-2.2%).
- KOSDAQ: 661.33p (-9.61p, -1.43%) 3일 연속 하락.
- 주요 원인: 바이오 관련주 약세.
- 업종별 하락: 의료정밀기기 (-2.7%), 기계/장비 (-2.3%), 섬유의류 (-2.2%).
- KRX300: 1,486.39p (-8.64p, -0.58%).
기타 시장 정보
- 원화: 원/달러 1,419.3원으로 2일 연속 약세 (+2.0원).
- 국제유가: 2일 연속 하락.
- WTI: 68.3$/배럴 (-0.35%), Brent: 72.09$/배럴 (-0.22%).
- 국채금리:
- 한국 3년물: 2.631% (+2.2bp), 10년물: 2.754% (+1.0bp).
- 미국 10년물: 4.168% (-0.9bp).
해외 증시
- 하락: 미국 다우 (-0.6%), 나스닥 (-0.2%), 호주 ASX (-0.6%), 일본 니케이 (-0.8%).
- 상승: 독일 DAX (+0.6%), 중국 상해종합 (+1.1%), 대만 TWI (+1.8%).
※ 분석
1. KOSPI 및 KOSDAQ 주요 업종별 전망
KOSPI
- 철강 및 금속 (-5.2%)
- 글로벌 경기 둔화 우려와 원자재 가격 하락이 주요 원인.
- 중국 경기 둔화가 철강 수요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음.
- 전망: 단기적으로 추가 하락 가능성.
- 전기전자 (-2,525억 원 외국인 순매도)
- 반도체 업황 회복 지연과 글로벌 기술주 약세가 주요 요인.
- 전망: 인공지능 및 데이터 센터 수요 증가가 긍정적 요인으로 작용할 가능성.
- 의료정밀 (-3.6%)
- 바이오 및 의료 기술주의 투자 심리 약화.
- 전망: 기술적 반등 가능성 있으나, 수익성 개선 신호가 나타나기 전까지 하락세 유지 가능.
KOSDAQ
- 바이오 (-1.43%)
- 글로벌 금리 인상 기조로 고평가된 성장주의 매력이 감소.
- 전망: 연구개발 성과 및 규제 이슈 해소 여부가 주요 변수.
- 기계 및 장비 (-2.3%)
- 중국 경제 둔화와 산업 생산 감소로 실적 기대치 하향.
- 전망: 하반기 글로벌 제조업 회복 여부에 따라 변동성 확대.
2. 외국인 투자자 매도 심리 분석
- KOSPI 매도세
- 외국인 순매도는 원화 약세와 글로벌 경기 둔화 우려가 주요 요인.
- 특히, 전기전자 업종에서 2,525억 원 규모의 매도가 이루어짐. 이는 반도체 업종의 전망 악화와 관련.
- KOSDAQ 매수세
- 외국인은 KOSDAQ에서 355억 원 순매수를 기록하며 중소형 성장주에 대한 선별적 관심을 보임.
- 이는 일부 저평가된 바이오 및 신기술 종목에 대한 투자 가능성을 시사.
- 심리적 요인
- 국제 유가 하락, 미국의 금리 동결 가능성 확대 등은 외국인의 심리적 안정을 줄 수 있으나, 현재는 방어적 매매 기조 유지.
전략적 시사점
* 외국인 투자자의 주요 매도 업종에 대한 비중 축소 및 방어 업종 중심의 리밸런싱 필요.
* 원화 약세를 기반으로 환율 헤지 전략 병행.
특징테마
금일 특징테마
12/06 금요일 | 이 슈 요 약 |
정치/인맥(이재명& 한동훈& 조국& 안철수 등) | 한동훈 국민의힘 대표, 尹 대통령 탄핵소추안 찬성시사 등에 상승 |
▷언론에 따르면, 한동훈 국민의힘 대표가 금일 "윤석열 대통령의 조속한 직무집행 정지가 필요하다고 판단한다"며, 전일 굳혔던 탄핵반대 당론을 뒤집고 찬성 입장을 밝힌 것으로 전해짐. 한 대표는 이날 국회에서 긴급최고위원회의를 열고 "저는 어제 준비 없는 혼란으로 인한 국민과 지지자 피해를 막기 위해 이번 탄핵에 대해선 통과되지 않게 노력하겠다고 말했지만, 새로이 드러나고 있는 사실들을 감안할 때 대한민국과 국민을 지키기 위해 윤 대통령의 조속한 직무집행 정지가 필요하다고 판단한다" 고 밝힘. ▷야(野) 6당 소속 의원 190명과 무소속 김종민 의원 등 191명이 발의에 참여한 윤 대통령 탄핵소추안은 전일 0시 48분께 본회의에 보고됐음. 탄핵소추안은 본회의에 보고된 뒤 24시간 이후 72시간 이내에 표결이 이뤄져야 하며, 윤 대통령 탄핵안은 오는 7일 오후 7 시 표결에 부쳐질 예정인 가운데, 같은 날 오후 5시로 2시간 당겨질 가능성도 민주당에서 거론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짐. ▷이재명 : 오리엔트정공, 동신건설, 에이텍, 토탈소프트, CS, 에이텍모빌리티 ,수산아이앤티, 카스, 이스타코 ▷한동훈 : 디티앤씨알오, 대상홀딩스, 오파스넷, 디티앤씨, 노을 ▷조국 : 화천기계, 삼보산업 |
|
은행 | 정치적 리스크에 따른 하락 과도 분석 등에 일부 관련주 상승 |
▷BNK투자증권은 최근 정치적 리스크가 발생하면서 이에 대한 피해주로 인식되며 은행주(4~5일 이틀간 KOSPI -2.3% 대비 -11.1%) 상승 동력이약화된 상황이라고 밝힘. 그러나 정부의 정책적 지원(자사주 소각 및 배당 증가시 법인세 감면 2025년부터 3년간 한시적 시행, 개인주주의 배당소득 분리과세 2026년부터 시행)은 유효하다는 점과 2025년 이후 총주주환원율 큰 폭 상승을 감안하면 최근 은행주 하락은 과도하다고 판단. ▷아울러 2025년 이후 큰 폭으로 확대되는 총주주환원율 상향과 수익성 다변화에 따른 안정적 이익 증가, 여전히 낮은 PBR(평균 0.42배) 등을 감안하면 은행주 투자매력은 유효하다고 분석. ▷이와 관련, 신한지주, 하나금융지주, 기업은행 등 일부 은행 테마가 상승. |
|
가상화폐(비트코인 등)/ 두나무(Dunamu) | 비트코인 가격 10만 달러 돌파 후 차익실현매물 출회 속 하락 |
▷글로벌 가상화폐 거래소 코인마켓캡에 따르면, 한국시간으로 5일 오전 11시30분 경 비트코인 가격은 10만 달러를 돌파했음. 이는 앞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이 차기 미증권거래위원회(SEC) 위원장으로 가상자산에 친화적인 폴 앳킨스 전SEC 위원을 지명했기 때문인 것으로 해석됐음. 트럼프 당선인은 5일(현지시간) 트루스소셜에 “비트코인 구매자들 축하한다! 10만 달러!”라며, “모두 환영하며 우린 다 함께 미국을 다시 위대하게 만들 것”이라고 언급했음. ▷다만, 심리적 매도선에 도달한 이후 차익실현 매물 등이 출회. 코인마켓캡에 따르면, 이날 오후 4시 경 비트코인 가격은 9만8,000달러 부근에서 거래되고 있음. 같은기간 국내 가상화폐거래소인 업비트와 빗썸에서 비트코인 가격은 1억3,700만원 부근에서 거래되고 있음. ▷차익실현 매물 출회 속 지난밤 美 증시에서 코인베이스(-3.13%), 마라홀딩스(-4.51%), 마이크로스트래티지(-4.83%) 등 암호화폐 관련주들이 하락. ▷이 같은 소식에 금일 한화투자증권, 네오위즈홀딩스, 위메이드, SGA, 티사이언티픽, TS인베스트먼트, 우리기술투자 등 두나무(Dunamu)/가상화폐(비트코인 등) 테마가 하락. |
|
2차전지/ 전기차/ 리튬 | 머스크 테슬라 CEO, 전기차 보조금 "모든 공제 없앨 것" 발언 등에 하락 |
▷전일(현지시간) 외신에 따르면, 머스크 테슬라CEO는 '연방정부 슬림화' 작업을 위해 DOGE 공동 수장인 기업가 출신 비벡 라마스와미 전 공화당 대선 경선 후보와 함께 워싱턴DC의 의회 의사당을 찾은 가운데, 전기차 세액 공제를 모두 없앨 것이라고 밝힌 것으로 전해짐. 머스크는 내년부터 상원 다수당 원내대표를 맡게 될 존 튠 의원(사우스다코타)과 만난 뒤 전기차 세액 공제와 관련한 질의에 "나는 모든 공제를 없애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답한 것으로 알려짐. 이는바이든 행정부가 인플레이션감축법(IRA)에 근거해 전기차 1대당 지급한 최대 7,500 달러(약 1,000만원)의 보조금을 없애야 한다는 뜻임. ▷한편, 머스크는 앞서 지난 7월에도 소셜미디어 엑스(X·옛 트위터)에 "보조금을 없애라. 이는 테슬라에 도움이 될 뿐"이라고 적었으며, 같은 달 테슬라의 2분기 실적발표 후 컨퍼런스콜에서도 "경쟁자들에게 치명적일 것이며, 테슬라도 약간 다치겠지만, 장기적으로는 도움이 될 것"이라고 밝힌 바 있음. ▷이 같은 소식에 이녹스, 에이에프더블류, 금양, 파워로직스, 삼기이브이, 하이드로리튬, 이브이첨단소재, 리튬포어스 등 2차전지/전기차/리튬 테마가 하락. |
|
반도체 관련주 | 시놉시스(-12.37%) 실적 가이던스 실망, 美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 약세 영향 등에 하락 |
▷지난밤 뉴욕주식시장이 고용보고서 대기 속 차익실현 매물 등에 하락한 가운데,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는 약세 마감. 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95.42(-1.86%) 하락한 5,026.37를 기록. 엔비디아(-0.05%), AMD(-1.83%), 마이크론테크놀로지(-2.26%), 인텔(-5.28%) 등이 하락. ▷반도체 설계 소프트웨어 회사인 시놉시스는 중국 매출 부진으로 2025회계연도 매출이 월가 예상치를 밑돌 것으로 전망되며 12.37% 급락세를 기록. 시놉시스는 실망스러운 분기 실적 가이던스를 발표. 1분기 매출 가이던스를 14억5,000만 달러로 제시, 이는 시장 예상치 대비 11% 가량 낮은 수준. 모건스탠리는어플라이드 머티어리얼즈(-5.04%)에 대해 D램 시장 여건이 회사에 부정적일 것이라고 전망. 이에 투자의견을 비중축소로 변경, 목표주가를 179달러에서 164달러로 하향. ▷이 같은 소식 속 SK하이닉스, 한미반도체, HPSP, 워트, 와이씨, 미래반도체, 테크윙, 아이엠티, 피에스케이홀딩스, 오로스테크놀로지 등 반도체 관련주가 하락. |
내일일정
12월 09일 월요일
1. 대왕고래 관련 드릴십 웨스트카펠라 부산항 도착
2. 한국거래소, KRX 반도체 TR 등 신규 지수 3종 발표
3. 하나은행, 대환대출 중단
4. 2024년 가계금융복지조사 결과
10. 美) 10월 도매재고지수(현지시간)
11. 美) 11월 소비자 인플레이션 기대치(현지시간)
12. 유로존) 유럽연합(EU) 재무장관회의(현지시간)
13. 中) 11월 생산자물가지수
14. 中) 11월 소비자물가지수
15. 日) 3분기 GDP(수정치)
16. 日) 10월 경상수지
17. 日) 11월은행대출
18. EPL) 토트넘 VS 첼시
![](https://t1.daumcdn.net/keditor/emoticon/friends1/large/008.gif)
정국이 불안한 가운데, 원화 약세가 지속되고 있다. 외국인의 이탈에 더불어 개인의 이탈이 가속화되고 있고, 이는 합리적인 선택이라 생각한다. 기관은 단기 자금 위주로 매수가 이뤄졌지만 이는 말 그대로 단기 자금일 뿐...
조속히 정치적 문제가 해결되어 안정화 되길 바란다.
그 동안 매수 전략은 CASH 뿐!!
한 주간 수고 많으셨습니다.
728x90
반응형
'STOCK > 시황 및 특징테마' 카테고리의 다른 글
24.12.11 (수) KRX 증시 브리핑 및 특징 테마 - #보안주(정보), 딥페이크(deepfake), 조선주 (7) | 2024.12.11 |
---|---|
24.12.09 (월) KRX 증시 브리핑 및 특징 테마 - # 정치 테마주만 상승 (6) | 2024.12.09 |
24.12.05 (목) KRX 증시 브리핑 및 특징 테마 - #반도체 관련주, 이재명, 가상 화폐 (2) | 2024.12.07 |
24.12.04 (수) KRX 증시 브리핑 및 특징 테마 - #이재명 관련주, 희토류 (8) | 2024.12.04 |
24.12.03 (화) KRX 증시 브리핑 및 특징 테마 - #반도체, 전력설비, 2차전지, 비만치료제, 화장품 등 (5) | 2024.12.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