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THE 원칙 지키미입니다.
오늘의 KRX 마감 브리핑 및 특징 테마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국내 증시 마감 브리핑
시사점
1) KOSPI는 기관 매수와 전기전자·제약주의 강세가 지속적 상승세를 이끌고 있음.
2) KOSDAQ은 제약 및 유통 업종의 강세와 개인 및 외국인 매수로 긍정적 흐름 유지.
3) 원/달러 환율 상승은 외국인 자금 이탈 요인으로 작용 가능.
4) 글로벌 증시 약세와 유가 하락이 향후 시장 변동성 요인으로 주목 필요.
2024년 12월 13일 마감 시황 요약
주요 지수 동향
- KOSPI: 2,494.46 (+12.34, +0.50%)
- 거래대금: 8.7조 원 (-3.5%)
- 4일 연속 상승. 장중 기관 순매수 및 전기전자·제약주 중심으로 상승폭 확대.
- KOSDAQ: 693.73 (+10.38, +1.52%)
- 거래대금: 6.6조 원 (-1.6%)
- 제약 관련주 강세 및 투자자 매수세로 4일 연속 상승.
- KRX300: 1,525.12 (+7.74, +0.51%)
업종 및 투자자 동향
- 업종 강세
- KOSPI: 제약 (+3.0%), IT 서비스 (+2.9%), 오락·문화 (+2.5%).
- KOSDAQ: 오락·문화 (+3.6%), 유통 (+3.5%), 제약 (+2.7%).
- 투자자 동향
- KOSPI:
- 매수: 기관 (+1,399억 원).
- 매도: 외국인 (-1,740억 원), 개인 (-820억 원).
- KOSDAQ:
- 매수: 외국인 (+42억 원), 기관 (+13억 원), 개인 (+283억 원).
- KOSPI:
외환 및 원자재
- 원/달러 환율: 1,433.1원 (+2.6).
- 국제유가 (WTI): 70.02달러 (-0.38%).
해외 증시
- 미국: 다우 (-0.5%), 나스닥 (-0.7%).
- 유럽: 독일 DAX (+0.1%).
- 아시아: 일본 니케이 (-1.0%), 대만 TWI (-1.9%).
특징테마
금일 특징테마
정치적 리스크와 투자심리의 연관성
탄핵 정국은 조기 대선 가능성과 정책주 강세를 이끌었으나, 정치적 불확실성이 커질 경우 시장 변동성이 확대될 수 있음. 따라서 정책주 테마가 중심이 되었지만 안정적인 수익 기반의 업종으로의 리밸런싱 필요
1. 일자리(취업)/출산장려정책/정치 테마
- 상승요인: 탄핵 정국 속 조기 대선 기대감과 정책 기대감 지속. 정치/인맥(이재명) 테마도 강세.
- 관련 종목: 윌비스, 대성창투, 오픈놀, 캐리소프트, 오리엔트바이오.
2. 남북경협/우크라이나 재건 테마
- 상승요인: 트럼프 당선인의 우크라이나 종전 및 북한과의 친분 언급. 유럽군의 우크라이나 주둔 가능성 부각.
- 관련 종목: SG, 대모, 현대엘리베이, 조비, 흥국.
3. 중국 소비 관련주 테마
- 상승요인: 중국의 경기 부양책 기대감. 소비와 관련된 엔터테인먼트, 여행, 화장품, 면세점 강세.
- 관련 종목: 디어유, CJ ENM, 한국콜마, 하나투어, 롯데관광개발.
4. 메타버스/AR/VR 테마
- 상승요인: 삼성전자·구글·퀄컴 합작 XR 헤드셋 ‘프로젝트 무한’ 내년 출시 소식.
- 관련 종목: 버넥트, 자이언트스텝, 이노뎁, 비트나인, 뉴프렉스.
5. 반도체 관련 테마
- 상승요인: 중국의 반도체 부품 재고 확보 및 반도체 수출 호조 지속.
- 관련 종목: 삼성전자, DB하이텍, ISC, 에프엔에스테크, 디아이티.
향후 흐름 전망
1. 국내 증시
- 정치 리스크 지속 가능성
- 탄핵 정국이 심화될 경우, 정책주 및 정치 관련 테마의 변동성이 커질 가능성.
- 조기 대선 가능성이 현실화되면 관련 정책주 상승세 지속.
- 정책 관련주
- 일자리/출산장려정책, 창투사 등의 정책주 강세는 조정 국면에 접어들 가능성.
- 정치적 불확실성 완화 시 방어주로의 순환매 예상.
2. 글로벌 변수
- 중국 경기 부양 기대감
- 중국 소비 관련주는 추가 부양책 발표 시 지속적인 강세를 보일 가능성.
- 그러나 부양책 효과가 제한적일 경우, 단기 상승 후 조정 가능.
- 우크라이나 재건 및 남북경협
- 트럼프 행정부의 정책 실행 여부 및 대북 관계 개선 움직임에 따라 남북경협주가 추가 상승 여력 존재.
- 다만, 구체적인 정책 실행까지는 시간이 필요해 단기 테마로 머물 가능성.
3. 기술주와 반도체
- 반도체
- 중국의 재고 확보 및 수출 호조는 단기적 긍정 요인. 그러나 글로벌 경기 회복과 메모리 가격 안정화가 뒷받침되어야 중장기적 모멘텀 지속 가능.
- HBM, 뉴로모픽 반도체, 온디바이스 AI 등 신기술 중심의 섹터는 지속 주목.
- 메타버스/AR/VR
- XR 헤드셋 출시 등 대형 기술주의 혁신은 중장기적 상승 동력이 될 가능성이 높음.
- 다만 초기 시장 진입 시 성과 확인까지는 시간이 필요.
4. 환율 및 금리
- 원/달러 환율이 지속 상승할 경우, 외국인 매도세가 확대될 가능성.
- 연준(Fed)의 금리 동결 혹은 인하 기대감이 현실화될 경우, 기술주 및 바이오 섹터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전망.
내일일정
12월 16일 월요일
1. 벡트 신규 상장
2. 엠앤씨솔루션 신규 상장
3. 독일 총리 신임투표(현지시간)
4. 10월 예금취급기관 가계대출
5. 10월 통화및 유동성
13. 美) 12월 합성 PMI 예비치(현지시간)
14. 美) 12월 제조업 PMI 예비치(현지시간)
15. 美) 12월 서 비스업 PMI 예비치(현지시간)
16. 美) 12월 뉴욕주 제조업지수(현지시간)
17. 유로존) 3분기 노동비용지수(현지시간)
18. 유로존) 12월 합성 PMI 예비치(현지시간)
19. 독일) 12월 제조업 PMI(현지시간)
20. 독일) 12월 합성 PMI 예비치(현지시간)
21. 영국) 12월 CIPS / S&P 글로벌 합성 PMI 예비치(현지시간)
22. 中) 중기유동성지원창구(MLF) 금리 발표
23. 中) 11월 소매판매
24. 中) 11월 고정자산투자
25. 中) 11월 산업생산
26. 中) 11월 실업률
27. 中) 11월 주택가격지수
28. 日) 10월 3차산업지수
29. 日) 10월 핵심기계류수주
30. 日) 12월 제조업 PMI 예비치
31. 日) 12월 서비스업 PMI 예비치
32. EPL) 사우샘프턴 VS 토트넘
![](https://t1.daumcdn.net/keditor/emoticon/friends1/large/008.gif)
한 주간 수고 많으셨습니다.
토요일은 탄핵 소추안 재표결이 있습니다. 하루 속히 정치적 리스크를 도려내고 '25년을 위해 달려갑시다. 아자아자 화이팅~~
728x90
반응형
'STOCK > 시황 및 특징테마' 카테고리의 다른 글
24.12.17 (화) KRX 증시 브리핑 및 특징 테마 - #반도체, 온실가스, 양자암호 (3) | 2024.12.17 |
---|---|
24.12.16 (월) KRX 마감 브리핑 및 특징 테마 - # 전력망, 유리기판, 양자암호 (48) | 2024.12.16 |
24.12.12 (목) KRX 증시 브리핑 및 특징 테마 - #4마녀의 날, 양자암호, 줄기세포, (51) | 2024.12.13 |
24.12.11 (수) KRX 증시 브리핑 및 특징 테마 - #보안주(정보), 딥페이크(deepfake), 조선주 (7) | 2024.12.11 |
24.12.09 (월) KRX 증시 브리핑 및 특징 테마 - # 정치 테마주만 상승 (6) | 2024.12.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