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STOCK/시황 및 특징테마

24.12.17 (화) KRX 증시 브리핑 및 특징 테마 - #반도체, 온실가스, 양자암호

by THE 원칙 지키미 2024. 12. 17.
728x90
반응형

KRX 증시 브리핑 & 특징 테마

 

안녕하세요~ THE 원칙 지키미입니다.
오늘의 KRX 마감 브리핑 및 특징 테마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간밤 미국 특징 테마

12월 16일 뉴욕 증시 마감 요약

주요 지수

  • 나스닥: 사상 최고치 기록(+1.22%, 20,174.53)
  • S&P 500: 상승(+0.39%, 6,074.72), 반면 다우는 하락(-0.25%, 43,719.54)

특징 테마

  • 금리 인하 기대감
    • 연준(Fed)의 금리 0.25%p 인하 가능성 95.4%로 전망(CME FedWatch Tool 기준)
    • 시장은 "매파적 금리 인하" 가능성에 주목(인하 후 추가 인하 신중론)
  • 기술주 강세
    • 인공지능(AI) 관련 성장 기대감으로 나스닥 중심의 기술주 상승
    • 테슬라: 목표가 상향(Wedbush, $515)으로 주가 상승
    • 알파벳(구글 모회사): 소비자 서비스와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부문 상승세 주도
  • 산업 및 기타 테마
    • Honeywell: 항공우주 사업 분사 검토 소식으로 상승
    • 암호화폐 관련주: 비트코인 $107,000 돌파 기대감에 상승세 지속

경제 지표

  • 제조업 PMI: 48.3으로 하락, 제조업 생산 지수는 2020년 5월 이후 최저치
  • 연말 소비 및 관세 인상 가능성으로 제조업 전망 불확실

시사점

  • 나스닥의 사상 최고치 경신은 AI 성장과 금리 인하 기대가 결합된 결과로, 기술주 강세가 당분간 지속될 가능성을 시사하지만 제조업 PMI 하락은 경제 성장 둔화 가능성을 암시하며, 연준의 금리 정책 이후 시장 변동성이 증가할 수 있음을 주의필요.

 

금일 일정

12월 17일 화요일
1. 美) 11월 소매판매(현지시간)
2. 美) 11월 산업생산(현지시간)
3. 美 선거인단 투표(현지시간)
4. 국무회의 개최
5. 동해 가스전 시추작업 개시
6. 국회의장, 경제 4단체장 간담회
7. 삼성전자, 글로벌 전략회의 개최
8. 24년 22차금통위 의사록 공개
9. 3분기 기업경영분석 결과
17. 美) 12월 NAHB 주택시장지수(현지시간)
18. 美) 10월 기업재고(현지시간)
19. 美) 20년 만기 국채 입찰(현지시간)
20. 유로존) 10월 무역수지(현지시간)
21. 독일) 12월 IFO 기업환경지수(현지시간)
22. 독일) 12월 ZEW 경기기대지수(현지시간)
23. 영국) 10월 실업률(현지시간)

국내 증시 마감 브리핑

2024년 12월 17일 KRX 마감 시황 요약

1. 주식 시장 동향

  • KOSPI: 2일 연속 하락(-1.29%, 2,456.81p)
    • 하락 원인: 전기전자·금융주 중심 외국인 매도세 확대, 아시아 증시 전반 약세 영향.
    • 업종별: 금속(-2.2%), 화학(-2.0%), 제약(-1.9%) 하락.
    • 투자자 동향: 외국인 매도(-7,133억 원), 기관과 개인 매수.
  • KOSDAQ: 6일 만에 하락(-0.58%, 694.47p)
    • 하락 원인: 2차전지주 약세 및 외국인·기관 동반 매도.
    • 업종별: 금융(-4.2%), 출판·매체복제(-3.1%), 오락·문화(-2.2%).
    • 투자자 동향: 개인 매수, 외국인·기관 매도.

2. 기타 시장 동향

  • 환율: 원/달러 환율 1,438.6원(3일 연속 약세).
  • 국제유가: WTI 70.71달러/배럴(-0.81%)로 하루 만에 하락.
  • 채권 금리: 국채 3년물(+7bp), 10년물(+7bp) 상승.

3. 해외 증시

  • 나스닥: 상승(+1.2%) - 기술주 강세 영향.
  • 다우: 하락(-0.3%).
  • 중국 상해종합: 하락(-0.7%), 일본 니케이(-0.2%), 독일 DAX(-0.5%).

시사점

  • 외국인 매도세 확대와 업종별 차별화가 뚜렷해지며 시장 변동성이 확대되고 있음
  • 특히 2차전지 업종 약세와 환율 상승으로 인한 수출입 기업들의 실적 부담이 가중될 가능성에 주의 필요

특징테마

 금일 특징테마

12/17 화요일 이 슈 요 약
반도체 관련주 브로드컴 훈풍 지속에 美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급등, 마이크론테크놀로지 실적 기대감 등에 상승
▷지난밤 뉴욕주식시장이 FOMC 대기 속 혼조 마감한 가운데,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는 급등 마감. 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106.28(+2.06%) 상승한 5,256.06를 기록. 마이크론테크놀로지(+5.62%), 램리서치(+2.06%), 인텔(+2.41%) 등이 상승. 특히, 브로드컴(+11.21%)은 인공지능(AI) 칩 선두 주자 엔비디아를 위협하는 기업으로 부상하며 큰 폭으로 상승. 브로드컴은 지난 12일 분기 실적을 발표하면서 "대형 클라우드 기업 3곳과 AI 칩을 개발 중"이라며 "향후 3년간 AI에서 기회를 보고 있다"고 밝힘. 이들 기업은 구글과 페이스북 모회사 메타, '틱톡'을 운영하는 중국의 바이트댄스로 추정.

▷언론에 따르면, 인공지능(AI) 시대를 맞아 주문형 반도체(ASIC)가 부상하고 있는 가운데, 브로드컴이 시장을 주도해 나가고 있다며, 반도체 업계에서는내년부터 ASIC 시장이 그래픽처리장치(GPU) 못지 않은 격전지가 될 것으로 전망. ASIC은 학습, 추론 등 철저하게 ‘특정 기능’에 특화한 맞춤형으로 설계, 생산되는 칩으로 GPU 대비 가격, 전력소모, 총투자비용이 낮아 생성형 AI 데이터센터에서 GPU의 대체재로 주목 받고 있음.

▷오는 18일(현지시간) 미국 최대 메모리칩 생산업체인 마이크론테크놀로지가 2025회계연도 1분기 실적을 발표할 예정. 앞서 마이크론은 이번 분기 매출 전망치를 역대 최대인 87억달러로 제시한 바 있음. 이는 전년동기 대비 84% 높으며, 기존 최고치인 82억8,000만달러보다 5% 이상 늘어난 수치임.

▷한편, 국제반도체장비재료협회(SEMI)에 따르면, 올해 글로벌 반도체 장비 시장이 전년대비 6.5% 성장해 역대최대인 1,130억달러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음. SEMI는 이 같은 성장세가 전공정과 후공정 모든 분야에서 지속될 것이라며, 2025년 1,210억달러, 2026년 1,390억달러에 이를 것으로 예상하고 있음.

▷이 같은 소식 속 SK하이닉스, DB하이텍, 에이직랜드, 자람테크놀로지, 퀄리타스반도체, 리노공업, 가온칩스, 피에스케이홀딩스, 인텍플러스, HPSP, 한미반도체 등 반도체 관련주가 상승. 반면, 삼성전자(-2.52%) 는 올 4분기 및 내년 실적 추정치 하향 조정 소식 등에 하락.
온실가스(탄소배출권) 트럼프-머스크, CCUS 탄소포집 기술 투자 지속 전망 등에 상승
▷일부 언론에 따르면,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당선인과 그의 측근인 일론 머스크가 탄소 포집·활용·저장(CCUS) 분야에 대한 투자를 지속 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음. 이는 트럼프가 인플레이션감축법(IRA)을 대대적으로 수정할 가능성이 있지만, CCUS 관련 세액공제 혜택만큼은 유지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으로 분석되고 있음. 일론 머스크는 최근 XPRIZE 재단과 함께 1억 달러 규모의 경연대회를 개최한 가운데 "기존 산업 구조를 급격히 바꾸는 대신, 실질적이고 확장 가능한기술이 중요하다"며, CCUS 기술이 화석연료 산업과 공존하면서 이산화탄소 감축을 돕는 현실적인 방법이라고 평가한 바 있음.

▷여기에 유럽연합(EU) 등 글로벌 주요국들의 CCUS 투자가 가속화되면서 CCUS는 탄소 중립 실현을 위한 핵심 기술로 부상하고 있는것으로 알려짐. 한국도 수출 측면에서 관련 기술에 강점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진 가운데, 한국무역협회에 따르면 CCUS 관련 품목 대미수출액은 2020년 1억7,000만 달러에서 지난해 3억 달러를 웃돌 정도로 늘어났음. 특히, SK그룹의 경우 SK이노베이션을 통해 가스 분리막 전문기업인 ‘에어레인’에 투자해 분리막을 활용한 탄소포집 기술을 개발중인 것으로 알려짐. 포스코는 에너지 사업의 효율화와 함께 CCUS 기술도입을 검토하고 있으며, 롯데케미칼 역시 삼성엔지니어링과 협력해 ‘셰퍼드 프로젝트’에 참여하며 탄소포집 및 저장 사업을 진행하고 있음.

▷이 같은 소식에 금일 그린케미칼, 유니드, 에코바이오, 에코아이, TKG휴켐스, SGC에너지 등 온실가스(탄소배출권) 테마가 상승.아울러 SK그룹 투자로 탄소포집 기술을 개발중인 에어레인은 상한가.
드론(Drone) LIG넥스원, 美 스카이디오와 인도-태평양지역 군용 드론 시장 공략 소식 등에 상승
▷언론에 따르면, LIG넥스원이 미국 최대 드론 기업 스카이디오와 협력해 인도-태평양 지역(인태지역) 군용 드론 시장 공략에 나선다고 전해짐. 양사는 지난 11일 드론사업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한 가운데, 스카이디오의 자율 드론 플랫폼 X10D에 LIG넥스원의 정밀 전자시스템을 통합, 인태지역 특수 작전 환경에 최적화된 플랫폼으로 발전시킬 계획임. 이번 협약으로 두 기업은 인태지역에서 전략적 우위를 확보할 전망이며, LIG넥스원의 드론 사업 확장과 신시장 진출에도 가속이 붙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음.

▷한편, 마켓앤마켓에 따르면, 글로벌 군용 드론 시장 규모는 2024년 218억1,000만달러에서 2033년 566억9,000만 달러로 연평균 11.20%씩 성장할 것으로 전망 되고 있음.

▷이 같은 소식 속 LIG넥스원을 비롯해 디티앤씨, 네온테크, 에이럭스, 딥마인드 등 드론(Drone) 테마가 상승.
양자암호 美 양자컴퓨팅 업체 주가 급등 영향 등에 상승
▷지난밤 뉴욕증시서 아이온큐(+23.59%), 리게티 컴퓨팅(+17.74%), 퀀텀 컴퓨팅(+65.25%), 디웨이브 퀀텀(+44.60%) 등 양자컴퓨팅 업체 주가가 급등세를 기록. 최근 구글이 초전도 양자컴퓨팅 반도체 칩셋 '윌로우'를 공개한 가운데, 구글 양자컴퓨팅 기술개발로 비트코인 암호 해독이 가능하다는 분석이 나오고있음. 구글은 기존 컴퓨터가 풀지 못했던 문제에 대한 양자컴퓨터의 해결 사례를 내년에 발표할 예정.

▷이 같은 소식 속 아이윈플러스, 아이씨티케이, 쏠리드, 우리넷 등 양자암호 테마가 상승.
조선/ 조선기자재 이산화탄소운반선 건조시장 개화 기대감 등에 일부 관련주 상승
▷메리츠증권은 보고서를 통해 2025년 LCO₂ 운반선 발주 확대의 가능성을 뒷받침하는 뉴스를 확인했다며, 12월16일 영국과 노르웨이의 각 수상들은 노르웨이의 Bergen 지역 내 Northern Lights CCUS 플랜트를 방문했다고 밝힘. Northern Lights는 Equinor, Shell, TotalEnergies가 조인트벤처를 통해 운영하는 CCUS(Carbon Capture & Utilization Storage) 플랜트로 에너지 협력과 이산화탄소의 국경간 운송(cross border) 및 저장에 관한 가능성을 논의했으며 상호협정을 체결했다고 언급.

▷이와 관련, 노르웨이와 영국은 북해지역의 탄소매장 허브에 대한 공동의 개발과 이산화탄소 운송루트에 대한 정립을 위해 상호협조할 계획이며, 북해지역을 활용한 CO₂ 해상 매립이 활성화되면 2040년에는 CO₂ 저장 비용을 연간 28.4억달러씩 절감할 수 있다고 언급.

▷이에 근거해 9월19일 ‘항해3’ 발간 자료에서 언급한 이산화탄소운반선 건조시장 개화의 당위성에 대한 당사의 의견을 유지한다며, 11월4일 ‘다시 한번, 증명의 시간’ 발간 자료에서 언급한 2025년 LCO₂ 운반선 발주 전망치 179만CBM에 대한 의견도유지한다고 밝힘. 새로운 먹거리에 대한 등장과 그에 대한 긍정적인 시장 반응은 2024년초 VLAC(대형암모니아운반선) 등장으로 경험한 바 있다고 언급.

▷이 같은 분석 속 금일 HJ중공업, HD현대미포, 동성화인텍, 한국카본 등 일부 조선/조선기자재 테마가 상승. 특히, HJ중공업은 해군 대형수송함(LPH-I)·고속상륙정(LSF-II) 외주 창정비 사업 최종 사업자 선정 및 867.14억원 규모 공사 수주 소식 등도 긍정적으로 작용.

내일일정

12월 18일 수요일

1. 온코크로스 신규 상장
2. 美) FOMC 회의 발표(현지시간)
3. 美) 마이크론테크놀로지 실적발표(현지시간)
4. 日 키옥시아 도쿄증권거래소 상장
5. 트럼프 당선인, 아마존 제프 베이조스와 면담(현지시간)
6. 경제관계장관회의
7. 이재명·권성동, 회동
8. CJ제일제당, 바이오사업부 매각 추진 보도에 대한 조회 공시 답변 재공시 기한
20. 美) 주간 MBA 모기지 신청건수(현지시간)
21. 美) 11월 주택착공, 건축허가(현지시간)
22. 美) 3분기 경상수지(현지시간)
23. 美) 주간 원유재고(현지시간)
24. 유로존) 11월 소비자물가지수(CPI)확정치(현지시간)
25. 영국) 12월 영국산업연맹(CBI) 산업현황보고서( 현지시간)
26. 영국) 11월 생산자물가지수(PPI)(현지시간)
27.영국) 11월 소비자물가지수(CPI)(현지시간)
28. 日) 일본은행(BOJ) 금융정책회의 1일차
29. 日) 11월 무역수지
오늘도 수고 많으셨습니다.
환율이 안정되길.....
아직까지는 일부 종목의 단타 접근만 유효할 것 같네요~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