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STOCK/시황 및 특징테마

24.12.20 (금) KRX 증시 브리핑 및 특징 테마 - 조선, 온실가스포집, 풍력

by THE 원칙 지키미 2024. 12. 23.
728x90
반응형

KRX 증시 브리핑 & 특징 테마

 

안녕하세요~ THE 원칙 지키미입니다.
오늘의 KRX 마감 브리핑 및 특징 테마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국내 증시 마감 브리핑

2024년 12월 20일 KRX 마감 시황 요약

주요 지수 동향

  • KOSPI: 2,404.15p (-1.30%)
    • 2일 연속 하락. 해외 증시 약세 및 원화 약세 지속으로 외국인·기관 매도세 확대.
    • 업종별: 금속(-3.1%), 기계·장비(-2.1%), 음식료·담배(-1.9%), 의료·정밀기기(-1.9%).
  • KOSDAQ: 668.31p (-2.35%)
    • 2일 연속 하락. 나스닥 하락 영향 및 외국인·기관 매도세로 2%대 하락.
    • 업종별: IT 서비스(-3.7%), 기계·장비(-3.3%), 섬유·의류(-3.3%).

투자자별 동향

  • KOSPI: 개인 매수(+7,903억 원), 외국인(-8,227억 원), 기관(-879억 원) 매도 우위.
  • KOSDAQ: 개인 매수(+1,329억 원), 외국인(-837억 원), 기관(-340억 원) 매도.

기타 주요 지표

  • 환율: 원/달러 1,451.0원, 6일 연속 약세.
  • 국제유가: WTI 69.38달러/배럴, 하루 만에 하락.

해외 증시

  • 다우: +0.04%, 나스닥: -0.1%, DAX: -1.4%, 니케이: -0.3%.

시사점

  • 원화 약세와 외국인 매도세가 지속되며 국내 증시가 부진한 흐름을 보이고 있습니다.
  • 해외 증시 불안정성이 국내 시장에 지속적으로 영향을 주고 있으며, 개인 매수세만이 시장을 지탱하는 모습입니다.
 

특징테마

 금일 특징테마

12/20 금요일 이 슈 요 약
조선/ 조선기자재 등 美 의회, 조선업 강화 법안 발의 및 차기 트럼프 정권 LNG선 시장 확대 기대감 등에 상승
▷언론에 따르면, 美상원의 마크 켈리(민주·애리조나)와 토드 영(공화·인디애나) 의원, 하원의 존 가라멘디(민주·캘리포니아)와 트렌드 켈리(공화·미시시피) 의원은 19일(현지시간) '미국의 번영과 안보를 위한 조선업과 항만시설법'(SHIPS for America Act)을 발의한 것으로 전해짐. 중국 선박 의존도를 낮추기 위한 다양한 정책을 담았으며, 특히, 동맹과 협력을 모색하라는 내용도 있어 차기 의회에서 통과될 경우 조선 강국이자 미국의동맹인 한국에 기회가 생길지 주목되고 있음.

▷메리츠증권은 보고서를 통해 액화천연가스(LNG)선 시장이 낮아진 운임과 초과 공급 문제로 침체기를 겪고 있지만, 내년부터 발주 시장이 회복되며 전환점을 맞이할 것으로 전망. 특히, 트럼프 정권이 재출범할 경우, 미국의 대규모 LNG 수출 프로젝트가 재개되면서 시장에 활 력을 더할 가능성이 크다고 분석.

▷한편, HJ중공업은 이날 방위사업청(대한민국 해군)과 2,663.30억원(최근 매출액대비 12.32%) 규모 공급계약(검독수리 Batch-II 후속함(9~12번함)) 체결(계약기간:2024-12-19~2028-10-31) 공시.

▷이 같은 소식 속 HJ중공업, 한화오션, HD현대중공업, 일승, HD현대마린솔루션 등 조선/조선기자재, LNG(액화천연가스) 테마가 상승.
온실가스(탄소배출권)/탄소 포집·활용·저장(CCUS) 기재부 ‘탄소크레딧 시장’도입 검토 및 트럼프-머스크, 탄소 포집·활용·저장(CCUS) 분야 투자 기대감 지속 등에 일부 관련주 상승
▷김범석 기획재정부 1차관은 전일 서울 은행회관에서 '제4차 민관합동 환경·사회·지배구조(ESG) 정책협의회'를 열어 미국 신정부기후정책에 대한 전망과 기후분야 민간금융 활성화를 위한 정책과제, 한국 탄소크레딧 시장 구상안을 논의했음. 이번 협의회에서 참석자들은먼저 내년 1월 트럼프 신정부 출범 등으로 美 기후정책의 기 조 변화가 예상되는 상황에서 구체적인 변화 방향과 주요 쟁점에 대해 전망하고의견을 교환한 가운데, 대기업의 탄소중립 이행뿐만 아니라 개인과 소기업 등도 탄소감축 프로젝트에 참여할 수 있도록 유도하자는 방안으로‘한국 탄소크레딧 시장 구상안’을 논의했음.

▷최근 언론에 따르면,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당선인과 그의 측근인 일론 머스크가 탄소 포집·활용·저장(CCUS) 분야에 대한 투자를 지속할 것이라는 소식이 전해짐. 트럼프가 인플레이션감축법(IRA)을 대대적으로 수정할 가능성이 있지만, CCUS 관련 세액공제 혜택만큼은 유지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며, 여기에 유럽연합(EU) 등 글로벌 주요국들의 CCUS 투자가 가속화되면서 CCUS는 탄소 중립실현을 위한 핵심 기술로 부상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짐.

▷이 같은 소식 속 에코바이오, 에코아이, 켐트로스, 한솔홈데코, 에코프로에이치엔 등 일부 온실가스(탄소배출권)/탄소 포집·활용·저장(CCUS) 테마 상승.
풍력에너지 산업통상자원부, 2024년 풍력 경쟁입찰 결 과 발표 속 일부 관련주 상승
▷전일 산업통상자원부는 2024년 풍력 경쟁입찰 결과 해상풍력 5개 사업자(1886MW), 육상풍력 6개 사업자(199MW)가 낙찰됐다고 발표. 고정식 해상풍력은 1000MW 공고에 1664MW(7개)가 입찰에 참여해 1136MW(4개)가 선정됐음. 이번에 낙찰된 고정식 해상풍력 사업자는 영광안마(에퀴스·대명에너지·씨에스윈드, 224MW), 영광안마2(208MW), 영광야월(두산지오솔루션, 104MW), 태안(뷔나에너지·CIP, 500MW)임. 이와 관련, LS전선·마린솔루션도 정부가 추진하는 태안해상풍력(500MW), 영광 안마해상풍력(2개 사업, 총 532MW) 등 5개 사업(1136MW)에 참여할 예정.

▷이 같은 소식 속 SK오션플랜트, LS마린솔루션, 대명에너지, LS에코에너지 등 일부 풍력에너지 테마가 상승. 반면, 유니슨은 산업부 풍력설비 경쟁입찰 탈락 속 급락세를 기록.

내일일정

12월 23일 월요일

1. 주한 중국대사 부임
2. 카카오엔터, 임시 주주총회
3. 헌법재판소 재판관 후보 인사청문회
4. 명태균·김영선등 '정치자금법 위반 재판' 첫 변론기일
5. 에스엘에너지 상장폐지
6. 신한제14호스팩 신규 상장
12. 美) 11월 시카고 연은 국가활동지수(현지시간)
13. 美) 12월 소비자신뢰지수(현지시간)
14. 美) 2년 만기 국채 입찰(현지시간)
15. 영국) 3분기 국내총생산(GDP) 확정치(현지시간)
16. 영국) 3분기 경상수지(현지시간)

 

17. EPL) 토트넘 VS 리버풀

 

(주요 이벤트 주목)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