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STOCK/시황 및 특징테마

25.01.08 (수) KRX 증시 브리핑 및 특징 테마 - 반도체 관련주, 조선, HMPV

by THE 원칙 지키미 2025. 1. 8.
728x90
반응형

KRX 증시 브리핑 & 특징 테마

 

안녕하세요~ THE 원칙 지키미입니다.
오늘의 KRX 마감 브리핑 및 특징 테마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국내 증시 마감 브리핑

KRX 종합
2025.01.08 수요일
  • KOSPI 4일 연속 상승 – 외국인·기관 매수세 주도
    ; 전기·전자 및 기계 업종 중심으로 매수세 확대, 시장 상승 견인.
  • KOSDAQ 강세 지속 – 2차전지주 상승세 유지
    ; 장중 등락에도 개인 매수세가 강하게 유입되며 상승세 이어감.
  • 환율 약세 – 외국인 매수세 지속 가능성
    ;
    원화 약세 전환으로 수출 관련 업종에 긍정적 영향 기대.
  • 유가 상승 – 물가 부담 재부각
    ;
    국제유가 반등으로 인한 비용 부담 재확산 가능성, 시장 변동성 유의 필요.

2025년 1월 8일 KRX 마감 시황 요약

주요 지수 동향

  • KOSPI: 2,521.05p (+1.16%) – 4일 연속 상승
    • 장 초반 해외 증시 약세로 하락 출발했으나, 외국인·기관 매수세 유입으로 상승 전환. 전기·전자주 중심으로 강세.
    • 업종별: 기계·장비(+3.3%), 전기·전자(+2.1%), 제약(+1.9%), 운송장비·부품(+1.7%).
  • KOSDAQ: 719.63p (+0.19%) – 6일 연속 상승
    • 장중 등락을 거듭하다 2차전지주 강세로 상승 마감.
    • 업종별: 금융(+2.3%), 화학(+2.2%), 기계·장비(+2.2%).

투자자별 동향

  • KOSPI: 외국인 매수(+2,030억 원), 기관 매수(+1,100억 원), 개인 매도(-3,858억 원).
  • KOSDAQ: 개인 매수(+2,516억 원), 외국인(-1,248억 원), 기관(-1,307억 원) 매도.

기타 주요 지표

  • 환율: 원/달러 1,455.4원 – 3일 만에 약세
  • 국제유가: WTI 74.25달러 – 하루 만에 상승

해외 증시

  • 다우: -0.4%, 나스닥: -1.9%, DAX: +0.6%, 니케이: -0.3%, 상해종합: +0.02%, 홍콩 HSI: -0.9%.

특징테마

 금일 특징테마

1/08 수, 특징테마 이 슈 요 약
반도체 관련주 젠슨 황 CEO, 삼성전자 HBM 긍정적 발언 및 엔비디아 차세대 GPU GDDR7 공급사 삼성전자·SK하이닉스 배제 논란 완화 등에 상승
▷글로벌 인공지능(AI) 칩 시장을 선도하고 있는 엔비 디아의 젠슨 황 최고경영자(CEO)는 현지시간으로 7일 세계 최대 가전·IT 전시회 'CES2025'가 열리고 있는 미국 라스베이거스 퐁텐블루호텔에서 글로벌 기자간담회를 갖고 "삼성전자의 HBM을 현재 테스트 중"이라며 "(납품에) 성공할 것이라 확신한다"고 밝힘. 이어 "원래 엔비디아가 사용한 첫 HBM은 삼성이 만든 것이었다"며 "그들은 회복할 것"이라고 덧붙임. 현재 SK하이닉스가 사실상 독점으로 엔비디아에 납품을 하고 있는 반면, 삼성전자는 테스트 진행 중에 있음.

▷아울러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가 엔비디아의 PC용 GPU GDDR7 공급사에서 배제된 것이 아니냐는 논란에 대해 젠슨 황 CEO는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는 우리에게 가장 큰 공급업체이고, (’CES 2025′ 기조연설에서 엔비디아의 차세대 PC용 그래픽처리장치(GPU)의 메모리 공급사로 마이크론만 언급한 것은) 내가 정확하지 않았던 것 같다. 별로 중요하지 않은 일이다”라고 언급했음. 젠슨 황 CEO는 전일 엔비디아의 차세대 PC용 GPU RTX50 시리즈의 GDDR7 메모리 성능을 소개하며 “마이크론의 초당 1.8테라바이트(TB)의 대역폭을 갖춘 GDDR7이 탑재됐다”고 언급한 바 있음.

▷한편, 삼성전자는 24년4분기 잠정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75.00조원(전년동기대비 +10.65%), 영업이익 6.50조원(전년동기대비 +130.49%). 이는 연합인포맥스가 집계한 영업이익 컨센서스(시장 평균 전망치) 7조7,096억원 대비 15.7% 하회한 수치임. 키움증권은 삼성전자에 대해 달러-원 환율 상승의 긍정적인 효과에도 불구하고 비메모리와 SDC 부문의 실적이 예상보다 부진할 것으로 판단되며 1Q25 영업이익은 7.5조원으로 소폭 감소하지만 이를 지나면 DRAM과 파운드리 부문이 전사 실적 반등을 이끌기 시작할 것이라고 밝힘.

▷이 같은 소식 속 삼성전자, DB하이텍,한미반도체, 와이씨, 저스템, 워트, 피에스케이, 오로스테크놀로지, 넥스틴 등 반도체 관련주가 상승.
조선/ 조선기자재 트럼프, 조선 협력 발언 모멘텀 지속 및 전방위적 수혜 기대감 등에 상승
▷신한투자증권은 보고서를 통해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이 언론 인터뷰에서 미 해군 재건과 관련해 동맹국을 이용할 수 있다고발언한 가운데, 전일 한화오션의 주가가 12.6% 급등했고, 이 외 삼성중공업 3.6%, HD한국조선해양 2.7%, HD현대미포 2.2%, HD한국조선해양 0.7% 상승하는 등 조선주 주가가 급등했다고 밝힘. 국내 조선사 중 방산업을 영위하는 업체는 한화오션과 HD현대중공업 두 곳으로, 한화오션은미국에 필리조선소 인수로 거점을 확보했고 ’24년 주가가 상대적으로 약세를 보여 이슈의 주가 반영폭이 컸던 것으로 분석.

▷이와관련, 현시점에서 미국과의 군함 MRO, 신조 건조의 시너지 효과를 수치화해 계산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지만, 분명한 것은 미국 군함 사업은 새로운 영역에 대한 사업 확장이라고 밝힘. 미국을 발판으로 전세계 군함 및 잠수함 수요 시장에 대한 지배력 확대, 상선 시장의 호황, 해양사업의 회복과 더불어 시너지 효과가 크다고 분석. 이와 함께 트럼프 당선인이 진행할 LNG 신규 수출 프로젝트 재개 방침도 ’25년의 중요한 모멘텀이 될 것으로 분석. 유일한 우려는 밸류에이션으로 이에 대한 부담으로 주가 변동성이 확대될 여지는 있지만, 성장 둔화가 확인되는 시점까지는 밸류에이션 고점을 확정하기 어렵다고 밝힘. 이에 지금은 전방위적 수혜가 반영되는 구간에 있다고 언급.

▷한편, 영국 조선해운시황 전문기관 클락슨리서치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전세계 선박 수주량은 194만CGT(86척)으로, 전월 및 전년동월대비 각각 50%, 56% 감소. 지난해 전세계 누계 수주는 6,581만CGT(2,412척)로 전년동기대비 34% 증가했으며, 이중 우리나라는 전년대비 9% 늘어난 1,098만CGT(250척·17%)를 수주했음. 중국은 전년대비 58% 늘어난 4,645만CGT(1,711척·70%)를 수주.

▷이 같은 분석 속 금일 HD현대중공업, 한화오션, HD현대미포, 한화엔진, 에스앤더블류, HD현대마린엔진 등 조선/조선기자재 테마가 상승. 특히, 한화엔진은 6,292억원(최근 매출액대비 73.6%)규모 선박용 엔진 수주 소식도 전해지며 급등.
마이코플라스마 폐렴/ 코로나19/ 제약업체/ 의료기기/ 마스크 등 '인간 메타뉴모바이러스’(HMPV) 글로벌 확산 및 국내 독감 유행 소식 등에 상승
▷중국과 미국에서 호흡기 감염병 중 하나인 ‘인간 메타뉴모바이러스’(HMPV) 감염이 확산하는 가운데, 미국, 인도와 말레이시아에서도 HMPV 확진자가 나와 보건 당국이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있음. 중국질병예방통제센터(CDC)에 따르면, HMPV 감염 사례가 중국 북부지역을 중심으로 급증했다며, 특히 14세 이하 소아청소년에서 양성 판정이 크게 늘었다고 전해짐. 미국에서도 11월부터 HMPV 사례가 꾸준히증가하고 있으며, 인도에서도 6일(현지시간) HMPV 5건이 확인됐고, 말레이시아에서는 HMPV 감염 사례가 2023년 225건에서 지난해 327건으로 45%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음.

▷전일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지난해 마지막 주(12월22∼28일) 전국의 인플루엔자 표본감시 의료기관 300곳을 찾은 외래환자 1,000명 가운데 독감 증상을 보인 의심환자 수를 나타내는 독감 의사환자(ILI) 분율은 73.9명으로 나타났음. 이는 전주 1,000명당 31.3명에서 약 2.41배(136%) 급증한 수치로, 지난 2016년(86.2명) 이후 최고 수준임.

▷이 같은 소식 속 수젠텍, DXVX, 국전약품, 유투바이오, 케이바이오, 녹십자엠에스, 진원생명과학 등 마이코플라스마 폐렴/코로나19 관련주/제약업체/의료기기 등 테마가 상승. 또한, 미국에서 호흡기 질환 환자가 급증하며 마스크 의무화를 시행하는 주(州)들이 늘고 있다는 소식 속 웰크론, 크린앤사이언스 등 마스크 테마도 상승.
냉각시스템(액침냉각 등) CES 2025 액침냉각 기술 주목 속 상승
▷언론에 따르면, AI 시대의 새로운 먹거리로 냉각 기술이 급부상하고 있다고 전해짐. 특히, SK그룹은 액침냉각 기술인 '냉각유에 담긴 서버'를 전시했음. AI 가동 시 서버의 열은 추론 속도에 영향을 미치므로 에어컨 등 공기를 차갑게 하는 방식으로 통제해왔지만, 전력 소모가 많고 공간 효율성이 떨어진다는 점에서 서버 내부에 특수 액체를 넣거나 아예 액체에 완전히 담가 열을 제거하는 방식이 주목받고 있음.

▷한편, 젠슨 황 엔비디아 CEO는 최근 실적 설명회에서 자사의 AI 가속기 블랙웰 사용을 위해서는 액체 냉각 등 획기적인 발열 통제 솔루션이 '게임 체인저'가 될 것이라고 언급한 바 있음.

▷이 같은 소식 속 워트, GST, 유니셈, 3S, 한중엔시에스 등 냉각시스템(액침냉각 등) 테마가 상승.

내일일정

01월 09일 목요일

1. 미국 증시 휴장
2. 미셸 보우만 연준 이사 연설(현지시간)
3. 패트릭 하커 필라델피아 연은 총재 연설(현지시간)
4. 제프리 슈미드 캔자스시티 연은 총재 연설(현지시간)
5. 사우디판 CES 리프 개막(현지시간)
6. EU·슬로바키아, 우크라 경유 러시아산 천연가스 공급 중단 관련 논의(현지시간)
9. 월간 재정동향
21. 美) 12월 NFIB 소기업 낙관지수(현지시간)
22. 美) 11월 도매재고지수(현지시간)
23. 美) 주간 신규 실업수당 청구건수(현지시간)
24. 유로존) 11월 소매판매(현지시간)
25. 독일) 11월 산업생산( 현지시간)
26. 독일) 11월 무역수지(현지시간)
찬바람이 불어오면 여전히 찾아오는 돈바람...코로나 관련주로 오세요~
짧게 짧게 욕심 부리지 않으면 나름 괜찮아요~
오늘도 수고 많으셨습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