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THE 원칙 지키미입니다.
오늘의 KRX 마감 브리핑 및 특징 테마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국내 증시 마감 브리핑
2025.01.21 화요일 KRX 종합 |
KOSPI는 대외 불확실성 속에서 외국인 매도세가 이어지며 약세를 보였으나, KOSDAQ의 경우 개인 매수세가 하락을 제한. 환율 및 정책 변화에 따른 수급 흐름을 주시할 필요. 1. KOSPI 하락 – 불확실성 확대 - 트럼프의 관세 부과 검토 및 정책 변화 우려로 투자 심리 위축, 전기·전자 및 수출주 약세. 2. KOSDAQ 하락 – 2차전지주 부진 - 외국인·기관 매도세가 집중되며, 성장주 중심의 차익 실현이 이루어짐. 3. 환율 약세 – 수출주 기대감 유지 - 원화 약세가 지속되며 수출 기업에 긍정적인 환경 조성, 외국인 매도세 안정 여부가 관건. 4. 유가 하락 – 비용 부담 완화 - 국제유가 하락으로 제조업 및 항공주 등 비용 절감 효과 기대, 경기 회복 기대감 반영. 5. 해외 증시 휴장 – 불확실성 속 관망세 유지 - 미국 증시 휴장으로 투자자들이 관망세 유지, 시장 변동성 확대 가능성. |
2025년 1월 21일 KRX 마감 시황 요약
주요 지수 동향
- KOSPI: 2,518.03p (-0.08%) – 3일 연속 하락
- 미 행정부의 유화적 관세 정책 기대감으로 상승 출발했으나, 트럼프의 관세 부과 검토 및 그린 뉴딜 종료 선언 여파로 2차전지주 약세 및 외국인 매도세 확대, 약보합 마감.
- 업종별: 금속(-3.8%), 화학(-1.9%), 보험(-1.4%), 통신(-0.9%).
- KOSDAQ: 726.07p (-0.22%) – 4일 만에 하락
- 2차전지 관련주의 부진과 외국인·기관 매도 확대, 상승 출발 후 하락 전환.
- 업종별: 금융(-3.3%), 화학(-2.3%), 전기·전자(-1.5%).
투자자별 동향
- KOSPI: 개인 매수(+556억 원), 기관 매수(+612억 원), 외국인 매도(-1,733억 원).
- KOSDAQ: 개인 매수(+670억 원), 외국인 매도(-548억 원), 기관 매도(-111억 원).
기타 주요 지표
- 환율: 원/달러 1,440.6원 – 하루 만에 약세
- 국제유가: WTI 77.39달러 – 2일 연속 하락
해외 증시
- 다우: 휴장(마틴 루터 킹 데이), 나스닥: +0.4%, DAX: +0.7%, 니케이: +0.3%, 상해종합: -0.1%, 홍콩 HSI: +0.9%.
특징테마
금일 특징테마
2025.01.21 화요일 특징 테마 |
이 슈 요 약 |
조선/조선기자재 등 | 트럼프 2기 개막 속 정책 수혜 기대감 지속 등에 상승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취임한 가운데, 국내 조선주들의 주가가 강세를 이어가고 있음. 이는 트럼프 대통령이 그동안 한국 조선업체와 협력을 강조해온 데 따라, 트럼프 2기 행정부가 시작되면서 수혜 기대감이 반영되는 것으로 풀이되고 있음. 국내 조선사들은 대표적 신성장동력으로 꼽히는 함정 유지·보수·정비(MRO) 사업과 더불어 트럼프의 보호무역주의와 대중국 강경 기조 등의 수혜가 기대되고 있으며, 특히 액화천연가스(LNG) 수출규제가 철회되면 LNG선 수주 증가로 K조선의 호황이 한동안 이어질 것으로 전망되고 있음. ▷아울러 국내 조선사들의 호실적 기대감도 지속되고 있음. 신한투자증권은 전일 보고서를 통해 조선 커버리지 5사 합산 영업이익이 전년동기대비 346% 증가해 컨센서스를 8% 상회할 것으로 전망. 계절적 성수기, 원화약세, 후판가 하락, 공정 안정화 및 외국인 인력 안착 등 대내외변수가 긍정적이라며, `25년도 선가 인상분 반영, 믹스 개선 등으로 편안한 실적 성장이 기대된다고 분석. 이에 급등한 주가 외에는 튼튼한업황이 이어지고 있다고 밝힘. ▷이에 금일 HD현대미포, HD현대중공업, 한화오션, 인화정공, 태광, 하이록코리아, 동성화인텍 등 조선/조선기자재/피팅(관이음쇠)/밸브 및 LNG(액화천연가스) 테마가 상승. |
|
우주항공산업(누리호/인공위성 등) | 트럼프 대통령, '화성계획' 발언 등에 상승 |
▷20일(현지시간) 도널드 트럼프 美 대통령은 워싱턴DC 연방의사당 중앙홀에서 열린 취임식에서 "미국은 부를 늘리고 영토를 확장하고 도시를 건설하고 새롭고 아름다운 지평선으로 성조기를 들 것"이라며, "화성에 성조기를 꽂기 위해 미국인 우주비행사를 보내는 등 별을 향해 우리의 '매니페스트 데스티니(명백한 운명을 의미하는 미국의 영토확장 관련 표현)'를 추구할 것"이라고 밝힘. ▷한편, 트럼프 2기 행정부는 러시아와 중국을 견제하기 위해 우주항공 산업을 키우고 있으며, 이를 위해 트럼프 대통령이 우주 산업에 대한 규제를 완화시킬 것으로 전망하고 있음. ▷이 같은 소식에 파이버프로, 이수페타시스, AP위성, 쎄트렉아이, 제노코, 컨텍 등 우주항공산업 테마가 상승. |
|
은행 | 견고한 이익 펀더멘털 속 주주환원 이행 기대감 등에 상승 |
▷DB금융투자는 보고서를 통해 24년 은행 업종 주가는 당국 차원의 적극적인 밸류업 추진 의지와 이에 호응하듯 밸류업 계획을 발표하며 가파를 상승세를 기록했지만, 12월 들어 정치적 불확실성 확대로 특히 외국인 비중이 높은 은행 업종에 대한 매도세가 집중되며 주가는 하락세를 보였다고 설명. ▷투자자들의 우려는 일련의 정치적 불확실성 확대로 인한 밸류업 정책의 지속성에 대한 의구심과 규제 리스크의 확대로좁혀진다고 언급. 다만, 이미 밸류업 계획 공시를 완료한 상황에서 미이행 가능성은 제한적이며, 부스트업 역시 코리아 디스카운트 해소라는방향성은 동일하다고 밝힘. ▷아울러 바텀 라인개선에 기반한 견고한 이익 펀더멘털은 주가 하방으로 작용할 것으로 전망된다며, 2025년 은행 평균 주주환원율은 약 +4%p YoY 상승, EPS 성장률은 약 +10.3% YoY를 예상한다고 밝힘. ▷이 같은 분석 속 금일 JB금융지주, BNK금융지주, 하나금융지주 등 은행 테마가 상승. |
|
남북경협/ 철도 | 트럼프, "北김정은 핵무기 보유, 난 그와 잘지냈다" 등 우호적 관계 발언에 상승 |
▷도널드 트럼프 미국대통령은 취임 첫 날인 20일(현지시간) 북한 김정은을 언급하며 "그는 뉴클리어 파워(nuclear power·핵보유세력)로 나는 그와 잘 지냈다"며, "난 김정은과 매우 우호적이었다. 그는 나를 좋아했고, 나도 그를 좋아했다. 우린 매우 잘 지냈다"고 발언. 이어 "그는 내가 돌아온 것을 반길 것이라고 생각한다"고 밝힘. ▷트럼프 대통령이 북한을 핵보유국이라고 명시적으로 언급한 것은 이례적으로 이날 트럼프의 언급은 백악관 오벌오피스에서 여러 행정명령을 서명하는 동시에 기자들과 질의응답을 갖는 와중에 나왔음. 이는 지난해 대선 기간 내내 김정은과의 친분을 과시했던 트럼프가 대통령 취임 직후 다시 한번 북한에 관여할 뜻을 내친 것으로 풀이되고 있음. ▷이 같은 소식 속 일신석재, 자화전자, 조비, 제이에스티나, 현대엘리베이, 부산산업, 국영지앤엠 등 남북경협 및 일부 철도 테마가 상승. |
|
드론(Drone) | 美, 中 드론 수입 제한 심화 속 한국 제품 수출 규모 급증 소식에 상승 |
▷일부 언론에 따르면, 중국산 드론에 대한 미국의 각종 제재로 인해 우리나라 드론 제조기업들의 수출액이 3배 가량 증가한 것으로 나타난 것으로 전해짐. 드론XL(DroneXL), 트레이드월드뉴스(Tradeworldnews) 등 외신들은 현지시간으로 20일 "한국 드론 제조업체들의 2023년 수출액이 전년대비 260% 증가한 2,754만 달러(약 395억9,426만원)에 도달하면서 주목할 만한 이정표를 달성했다"고 보도했음. 특히, 미국은 우리나라 드론의 주요 목적지로 부상하며 총 수출액의 42.3%인 1,167만 달러(약 167억7,679만원)를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음. ▷이러한 수요 급증은 미국 상무부가 중국 드론 규정을 강화하는 한편, 의회가 새로운 DJI 제품 인수를 금지하는 입법 조치를 포함한 최근의 미국 정책 변화와 직접적으로 관련이 있다고 분석. ▷이 같은 소식에 제이씨현시스템, 네온테크, 엠씨넥스, 에이럭스 등 드론 테마가 상승. |
|
화장품 | 지난해 4분기 화장품 업종 전반 양호한 실적 전망 등에 일부 관련주 상승 |
▷DB금융투자는 보고서를 통해 지난해 4분기 화장품 업종 전반 실적은 시장 눈높이에 부합할 것으로 전망. 통상적으로 4분기는 재고 소진을 위한 시기로 브랜드와 OEM사 모두 비수기에 해당되지만, 글로벌 수출 확대가 연중 지속되며 제조및 용기사 중심으로 실적 성장세가 강하게 유지되고 있다고 밝힘. ▷한편, 최근 화장품 업종 주가는 단기 반등에 성공했다며, 이는 수출 업황 호조에도 멀티플이 충분히 하락해 있었고 비수기에도 불구한 호실적이 예상되기 때문이라고 밝힘. 특히, 지난해 4분기 실적 시즌 실적주 중심으로 주가가 바닥을 다졌다면, 업종 추세적 상승을 결정짓는 시기는 2Q25가 될 것으로 추정. ▷이 같은 소식 속 인스코비,글로본, 코스메카코리아, 실리콘투, 한국콜마 등 일부 화장품 테마가 상승. |
종 목 | 사유 |
와이팜 (332570) 4,170원 (+29.91%) |
글로벌 기업에 '자율주행핵심' FEM 본격 납품 예정 소식에 상한가 |
티웨이홀딩스 (004870) 1,017원 (+29.89%) |
대명소노그룹, 티웨이항공 경영진에 경영개선 요구서 발송에 따른 경영권 분쟁 본격화 소식에 예림당 그룹주 상승 속 상한가 |
고영 (098460) 14,580원 (+19.31%) |
뇌수술용 의료로봇 美 FDA 인허가 획득 모멘텀 지속에 급등 |
대창솔루션 (096350) 373원 (+18.04%) |
트럼프 2기 개막 속 정책 수혜 기대감지속 등에 조선기자재/ LNG(액화천연가스) 테마 상승 속 급등 |
예림당 (036000) 2,600원 (+16.85%) |
대명소노그룹, 티웨이항공 경영진에 경영개선 요구서 발송에 따른 경영권 분쟁 본격화 소식에 예림당 그룹주 상승 속 급등 |
인화정공 (101930) 37,000원 (+13.15%) |
트럼프 2기 개막 속 정책 수혜 기대감 지속 등에 조선기자재 테마 상승 속 급등 |
태광 (023160) 23,400원 (+10.64%) |
조선기자재/ 피팅(관이음쇠)/밸브 테마 상승 속 美 LNG 터미널 신규 인허가 재개에 따른 밸류에이션 재평가 기대감 등에 급등 |
인스코비 (006490) 1,531 원 (+10.54%) |
지난해 4분기 화장품업종 전반 양호한 실적 전망 등에 일부 화장품 테마 상승 속 급등 |
더블유에스아이 (299170) 1,908원 (+10.03%) |
자회사 이지메디봇, 로봇 자궁 거상기 '유봇(U-BOT)'미국 특허출원 완료 소식에 급등 |
파이버프로 (368770) 5,400원 (+9.76%) |
트럼프 대통령, '화성계획' 발언 등에 우주항공산업(누리호/인공위성 등) 테마 상승 속 급등 |
금호석유 (011780) 109,700원 (+9.70%) |
올해 실적 개선 전망 등에 급등 |
HD현대미포 (010620) 141,800원 (+9.67%) |
조선/ LNG(액화천연가스) 테마 상승 속 미국 전략상선단 관련 수혜 전망 등에 급등 |
티웨이항공 (091810) 3,360원 (+9.62%) |
대명소노그룹, 동사 경영진에 경영개선 요구서 발송에 따른 경영권 분쟁 본격화 소식에 예림당 그룹주 상승 속 급등 |
영풍 (000670) 418,000원 (+9.57%) |
법원, 고려아연 임시 주주총회 의안상정 금지 가처분 인용 소식에 급등 |
글로본 (019660) 682원 (+9.47%) |
지난해 4분기 화장품 업종 전반 양호한 실적 전망 등에 일부 화장품 테마 상승 속 급등 |
엑스페릭스 (317770) 2,990원 (+9.32%) |
윤상철 대표,美 트럼프 대통령 취임식 참석 소식 속 미국 진출 기대감 등에 급등 |
이니텍 (053350) 3,865원 (+9.18%) |
매각 기대감 부각 등에 급등 |
화인베스틸 (133820) 1,142원 (+8.35%) |
트럼프 2기 개막 속 정책 수혜 기대감지속 등에 조선기자재 테마 상승 속 강세 |
국영지앤엠 (006050) 1,807원 (+8.20%) |
트럼프, "北 김정은 핵무기 보유, 난 그와 잘지냈다" 등 우호적 관계 발언에 철도 테마 상승 속 강세 |
내일일정
01월 22일 수요일
1. 삼성전자, 갤럭시 언팩 행사 개최(현지시간)
2. LG CNS 공모청약
3. 北 최고인민회의 제14기 제12차 회의
4. 비상계엄 관련 국회 국정조사 특별위원회
5. 샤오미 레드미 노트14, 오프라인 매장 판매
6. 11월 인구동향
7. 1월 국고채 모집 방식 비경쟁인수 발행 여부 및 발행계획
8. 1월 소비자동향조사 결과
9. LG이노텍 실적발표
10. LG디스플레이 실적발표
11. LX세미콘 실적발표
12. 삼성물산 실적발표
13. 삼성바이오로직스 실적발표
14. 현대건설 실적발표
15. 현대제철 실적발표
30. 美) 주간 MBA 모기지 신청건수(현지시간)
31. 美) 12월 경기선행지수(현지시간)
32. 美) P&G 실적발표(현지시간)
33. 美) 알코아 실적발표(현지시간)
34. 美) 존슨앤존슨 실적발표(현지시간)
35. 美) 트래블러스 컴퍼니실적발표(현지시간)
36. 유로존) 크리스틴 라가르드 유럽중앙은행(ECB) 총재 연설(현지시간)
37. 영국) 12월 공공부문 순차입/순상환(현지시간)
![](https://t1.daumcdn.net/keditor/emoticon/friends1/large/008.gif)
트럼프 2기 정부 출범으로 아래의 같은 불확실성은 증가된 것은 사실
1. 환율 리스크 증가
2. 미 금리 인상 압력 증가
이에, 한국 정부는 이러한 미국의 무역 정책 변화에 대응하여 수출 기업들을 지원하기 위해 360조 원(약 2,477억 달러)의 정책 금융을 제공할 계획입니다. 또한, 환율 변동성에 대비한 보험 지원을 1.4조 원으로 확대하고, 무역 박람회 및 사절단에 대한 지출을 2.9조 원으로 늘릴 예정입니다.
728x90
반응형
'STOCK > 시황 및 특징테마' 카테고리의 다른 글
25.01.23 (목) KRX 증시 브리핑 및 특징 테마 - 스타게이트(AI), 2차전지 (2) | 2025.01.24 |
---|---|
25.01.22 (수) KRX 증시 브리핑 및 특징 테마 - AI, 건설기계, 우주항공 (6) | 2025.01.23 |
25.01.20 (월) KRX 증시 브리핑 및 특징 테마 - 2차전지, 반도체, 파이프(대왕고래) (2) | 2025.01.20 |
25.01.17 (금) KRX 증시 브리핑 및 특징 테마 - 유리기판, 전력설비, 반도체 (2) | 2025.01.18 |
25.01.16 (목) KRX 증시 브리핑 및 특징 테마 - 보안주, 2차전지, 반도체 (2) | 2025.01.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