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STOCK/시황 및 특징테마

25.01.22 (수) KRX 증시 브리핑 및 특징 테마 - AI, 건설기계, 우주항공

by THE 원칙 지키미 2025. 1. 23.
728x90
반응형

KRX 증시 브리핑 & 특징 테마

 

안녕하세요~ THE 원칙 지키미입니다.
오늘의 KRX 마감 브리핑 및 특징 테마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국내 증시 마감 브리핑

2025.01.22 수요일
 KRX 증시 종합
  1. KOSPI 상승 – AI 인프라 투자 기대감 확대
    - 미국의 AI 인프라 투자 계획 발표로 IT·전기전자주 중심의 상승세 강화, 외국인·기관의 적극적 매수세 유입.
  2. KOSDAQ 상승 – 2차전지주 지속적 강세
    - 2차전지 섹터가 여전히 시장의 핵심 테마로 자리하며 기관·외국인 관심 지속.
  3. 환율 하락 – 외국인 수급 개선 기대
    - 원화 강세가 외국인 투자 유입을 촉진할 가능성이 높아, 추가 상승 모멘텀 확보 가능.
  4. 유가 하락 – 인플레이션 완화 기대감
    - 국제유가 하락이 원가 절감 효과를 가져와 소비 관련 업종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가능성.
  5. 글로벌 증시 긍정적 흐름 – 투자 심리 회복 조짐
    - 미국 증시 강세를 기반으로 국내 시장의 투자 심리가 개선되며, 위험자산 선호 확대 가능성.
KOSPI와 KOSDAQ 모두 외국인과 기관의 매수세에 힘입어 상승 전환하며, AI 및 2차전지 관련주의 강세가 두드러짐. 환율 안정세와 글로벌 증시 흐름이 지속될 경우 추가 상승 여력 기대.

 

2025년 1월 22일 KRX 마감 시황 요약

주요 지수 동향

  • KOSPI: 2,547.06p (+1.15%) – 4일 만에 상승
    • 트럼프 보편관세 우려 완화와 미국 AI 인프라 투자 계획 발표에 따른 외국인·기관 매수세 확대, 1%대 상승 마감.
    • 업종별: 기계·장비(+6.5%), 운송·창고(+3.2%), 건설(+3.1%), 전기·전자(+2.2%).
  • KOSDAQ: 732.31p (+0.86%) – 하루 만에 상승
    • 나스닥 강세에 힘입어 2차전지주 중심 외국인·기관 매수세 확대, 상승 마감.
    • 업종별: 일반서비스(+2.1%), 금융(+2.0%), 기계·장비(+1.6%).

투자자별 동향

  • KOSPI: 외국인 매수(+3,562억 원), 기관 매수(+4,098억 원), 개인 매도(-8,261억 원).
  • KOSDAQ: 외국인 매수(+215억 원), 기관 매수(+664억 원), 개인 매도(-943억 원).

기타 주요 지표

  • 환율: 원/달러 1,438.4원3일 만에 약세
  • 국제유가: WTI 75.83달러 – 3일 연속 하락

해외 증시

  • 다우: +1.2%, 나스닥: +0.6%, DAX: +0.3%, 니케이: +1.6%, 상해종합: -0.9%, 홍콩 HSI: -1.8%.

특징테마

 금일 특징테마

25.01.22 수요일
특징테마
이 슈 요 약
AI 챗봇(GPT )/ 인공지능(AI)/ 전력설비/ 양자등 트럼프 대통령, 5,000달러 규모 AI 인프라 투자 발표 소식 등에 상승
▷현지시간으로 21일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인공지능(AI) 인프라에 5,000억달러 규모의 투자를 발표했음. 트럼프 대통령은 백악관에서 브리핑을 열고 “역사상 가장 큰 AI 인프라 프로젝트”라며 “이 모든 것이 바로 여기 미국에서 일어나고 있다”고 밝힘.

▷이와 관련, 트럼프 대통령이 밝힌 AI인프라 투자는 챗GPT 개발사 오픈AI와 일본 소프트뱅크, 美 소프트웨어 기업 오라클이 수천억 달러 규모의 합작회사 설립을 추진한다는 내용으로 이들 3개 기업은 스타게이트라는 합작회사 설립을 계획하고 있고 초기에 1,000억달러를 투자를 한 뒤 향후 4년간 최대 5,000억달러까지 투자를 늘릴 계획으로 알려짐. 이에 지난밤 뉴욕증시에서 오라클(+7.17%) AI 관련주들이 강세를 보임.

▷아울러 트럼프 대통령의 AI 인프라 투자 발표 속 양자컴퓨팅 산업에 대한 투자심리도 개선되며 양자기술 관련 기업인 아이온큐(+16.51%), 리게티컴퓨팅(+42.22%) 등이 급등세를 기록. 한편, 표창희 IBM 퀀텀 아시아태평양 사업부 담당(상무)는 전일 기자간담회에서“오류가 완화되면 양자컴퓨터를 더 널리 활용할 수 있을 것”이며, 2~3년 내로 양자컴퓨터의 성능이 슈퍼컴퓨터를 뛰어넘는 '양자 우위'에 도달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힘. SK스퀘어 자회사 아이디퀀티크(IDQ)가 양자암호통신 양자키분배(QKD) 장비 최초로 국가인증을 획득했다는소식도 전해짐. 이날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TTA) IDQ의 양자암호통신 핵심 장비인 QKD 장비 ‘클래비스XG’에 국내 최초로 보안기능확인서를 발급했다고 밝힘.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전일 서울 한국과학기술회관에서 열린 '2025년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인 신년인사회'에 참석해 "올해 연구·개발(R&D) 예산 296,000억원을 차질 없이 조속 집행하고, 내년 예산도 올해처럼 선도형 R&D 중심으로 탄탄히 쌓아 올려 '정부 R&D 30조원 시대'를 열겠다"고 밝힘. 이어 "용광로의 불꽃을 꺼뜨려서는 안 되는 것처럼, 과학기술지원은 흔들림 없이 계속돼야 한다" "인공지능(AI)·바이오·양자 등 3 '게임체인저'(결정적 기술) 분야를 비롯해 핵심 분야 투자를 더욱 과감히 확대하겠다"고 강조했음.

▷이 같은 소식에 인스웨이브시스템즈, 폴라리스AI, 이스트소프트, 솔트룩스, 마음AI, 일진전기, 효성중공업 AI 챗봇(GPT )/지능형로봇/인공지능(AI) 등의 AI 관련 테마, 전력설비/전선 등 AI 관련 전력 인프라 테마가 상승. 우리로,아이윈플러스, 케이씨에스, 한국정보인증 등 양자암호/양자컴퓨팅 테마도 상승.
건설기계 등 트럼프 대통령, 인프라 투자 기대감 부각 등에 상승
▷일부 언론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이 1조 달러 규모의 인프라 투자를 시행해 전국 각지의 노후화된 공항과 교량, 도로 등을 재건하겠다고 약속한 만큼 추가적인 계획이 나올 것으로 전망되고 있음. 이는 도로와 교량, 공항 및 항만 개선을 포함한 대규모 공공사업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며, 건설업체와 자재 공급업체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고 있음. 

▷또한, 트럼프 대통령이 최근 미국 서부 로스앤젤레스(LA)를 휩쓴 산불에 인한 피해 회복을 위해 "해당 지역을 둘러보고 해당 주의 미국인이 연방 정부, 특히 주 정부나 지방 정부로부터 필요한 지원을 받고 있는지 확인할것"이라고 밝히는 등 미국의 노후화 도로 및 교량 등 대규모 인프라 투자와 더불어 LA산불 피 해지역 재건에 따른 수요 기대감이 부각되는 모습.

▷한편,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취임 첫날 무더기 행정명령에 서명하며 행보를 시작한 가운데, 이틀차엔 대규모 인프라 건설 계획을 발표할 계획이라고 전해진 바 있음. 이러한 일환으로 21(현지시간)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인공지능(AI) 인프라에 5,000억달러 규모의투자를 발표.

▷이 같은 소식 속 HD현대건설기계, 두산밥캣, HD현대인프라코어, 전진건설로봇, 대모 등 건설기계 및 현대건설, DL이앤씨, GS건설, 대우건설 등 건설 대표주가 상승.
우주항공산업(누리호/인공위성 등) 트럼프 대통령, '화성계획' 발언에 따른 美 우주항공 관련주 급등 영향 등에 상승
▷지난밤 뉴욕증시서 로켓랩(+30.29%), 인튜이티브머신스(+23.93%), 레드와이어(+51.39%), 비아샛(+32.85%), 플래닛랩스(+22.25%) 등 우주항공 관련주가 급등세를 보임. 이는 트럼프 대통령의 '화성계획' 발언 영향으로 풀이되고 있음. 

20(현지시 간) 도널드 트럼프 美 대통령은 워싱턴DC 연방의사당 중앙홀에서 열린 취임식에서 "미국은 부를 늘리고 영토를 확장하고 도시를 건설하고 새롭고 아름다운 지평선으로 성조기를 들 것"이라며, "화성에 성조기를 꽂기 위해 미국인 우주비행사를 보내는 등 별을 향해 우리의 '매니페스트 데스티니(명백한 운명을 의미하는 미국의 영토확장 관련 표현)'를 추구할 것"이라고 밝힘.

▷한편, 외신에 따르면,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기 행정부에서 백악관국가 우주위원회를 폐지할 가능성이 높다고 전해짐. 국가 우주위원회는 트럼프 대통령의 최측근인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가 이끄는 스페이스X가 폐지를 주장해온 기관임.

▷이 같은 소식 속 루미르, 에이치브이엠, 켄코아에어로스페이스, 쎄트렉아이, 컨텍, 이노스페이스 등 우주항공산업(누리호/인공위성 등) 테마가 상승.
반도체 관련주 美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 강세, 엔비디아 시총 1위 탈환, 트럼프 대통령 5,000달러 규모 AI 인프라 투자 발표 소식 등에 상승
▷지난밤 뉴욕주식시장이 트럼프 취임 후 첫거래일 관세 우려 완화 등에 상승한 가운데,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는 전거래일 대비 68.76(+1.29%) 상승한 5,378.50를 기록. 엔비디아(+2.27%), AMD(+0.68%), TSMC(+3.40%), 마이크론테크놀로지(+3.43%) 등이 상승.

▷특히, 엔비디아가 증권가의 긍정적인 전망 속 애플을 제치고 시총 1위에 올라섰음. UBS는 엔비디아의 차세대 인공지능(AI) 전용칩‘블랙웰’의 매출이 증가할 것이라고 전망. 엔비디아에 대한 의구심이 과장된 것이라고 일축하며 이번 분기에 좋은 실적을 낼 것이라고 전망했으며, 엔비디아의 1월 블랙웰 매출을 90억달러로 예상. 이는 이전 전망치의 두배에 달하며, UBS는 블랙웰의 판매 호조로 엔비디아의 1분기실적이 크게 개선될 것이라고 예상했음. 

▷아울러 트럼프 2기 행정부의 인공지능(AI) 투자 기대감도 긍정적으로 작용하는 모습. 트럼프 대통령은 21(현지시간) 인공지능(AI) 인프라에 5,000억달러 규모의 투자를 발표. 트럼프 대통령이 밝힌 AI인 프라 투자는 챗GPT 개발사오픈AI와 일본 소프트뱅크, 美 소프트웨어 기업 오라클이 수천억 달러 규모의 합작회사 설립을 추진한다는 내용으로 이들 3개 기업은 스타게이트라는 합작회사 설립을 계획하고 있고 초기에 1,000억달러를 투자를 한 뒤 향후 4년간 최대 5,000억달러까지 투자를 늘릴 계획으로 알려짐.

▷이 같은 소식 속 SK하이닉스, 삼성전자, 한미반도체, 피에스케이홀딩스, 테크윙, 로체시스템즈 등 반도체 관련주가 상승.
2차전지 등 트럼프發 우려 과도 분석 등에 상승
▷언론에 따르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취임 일성으로 전기차 보조금 폐지 등 관련 정책을 일제히 폐지하겠다고 밝혔으나, 전기차 보조금 폐지는 법안으로 규정된 사항인 만큼, 실제 폐지까지는 쉽지 않을 것이란 전망이 나오고 있는 것으로 전해짐. 뉴욕타임스(NYT) 21(현지시간) 트럼프 대통령이 취임식 당일 발표한 관련 행정명령 중 일부는 의회나 연방규칙 제정 절차를 우회하는 것으로 보이며, 소송에 걸리거나 공화당의 강한 반발에 직면할 수도 있다고 밝힘. NYT는 “트럼프 대통령이나 재무부 등이 단순히 펜을 들어 자금을 어떻게 지급할지 결정하기 위한 규칙을 철회할 수는 없다”고 지적했음.

DB금융투자는 리포트를 통해 행정명령(Executive Order)으로 이미 입법된 법안을 폐지시키거나 그에 모순되는 내용을 말하는 것은 근본적으로 불가능하다고 밝힘. 아울러 기존에 계속 업데이트 되던 것처럼 보조금 세부 요건, FEOC 정의 등이 더 까다로워질 수는 있겠으나, 법안의 전면 폐지와 무효화는 불가능할 것으로 전망.

▷이 같은 소식 속 LG에너지솔루션, 삼성SDI, SK이노베이션, 에코프로비엠, 포스코퓨처엠, 에코프로, 엘앤에프 2차전지/ 전기차/ 리튬 테마가 상승.
로봇(산업용/협동로봇 등)/ 지능형로봇/인공지능(AI) 韓·美 협동 개발팀 휴머노이드 로봇 '마인드봇' 공개 소식 속 상승
▷언론에 따르면, ‘에이아이마인드봇(AI Mindbot)’이 전일 오후서울 고려대 교우회관 5층 대회의실에서 사람처럼 표정을 짓고 대화에 응답할 수 있는 휴머노이드 로봇 ‘마인드봇(Mindbot)’의 사업설명회를 개최한 것으로 전해짐. '마인드봇'은 회색 몸체에 초등학생 정도 크기의 소형 휴머노이드 로봇으로 음성인식 기능을 이용해 사람의 말을알아듣고 대답할 수 있으며, 이 과정에서 다양한 표정을 지을 수 있고, 다양한 몸짓으로 사람과 친밀감을 높일 수 있다고 알려짐. 

▷마인드봇 미국 현지 개발사 ‘마인드칠드런’의 크리스 쿠들라 대표는 로봇을 실제로 구동해 보이며 “현재 사람을 알아보고 반응하는 것이가능하고, 다양한 얼굴 표정을 지을 수 있고, 몸짓도 해 보일 수 있다”면서 “곧 주변에 없는 사람의 목소리에 반응하는 기능을 추가하고,완전 자동화로 혼자 길을 찾아다닐 수 있도록 할 것”이라고 밝힘. 마인드봇 사업은 한국과 미국, 양국의 다수 기업이 모여 ‘컨소시엄’ 형태로 진행되며, 총괄은 미국의 로봇 및 AI 전문기업 '싱귤래리티넷(SingularityNet)'. 또한, 마인드봇의 국내 사업과 유통은 에이아이마인드봇이, 생산은 1세대 로봇기업 유진로봇을 창업한 신경철 회장이 대표로 있는 ‘유진테크원’에서 맡는다고 알려짐.

▷이 같은 소식속 유진로봇, 로보로보, 휴림로봇, 로보스타, 삼현, 스맥, 티라유텍 등 로봇(산업용/협동로봇 등), 지능형로봇/인공지능(AI) 테마가상승.
LNG(액화천연가스)/ 피팅(관이음쇠)/ 밸브 트럼프 2기 출범 속 LNG 시대 본격화 전망 등에 일부 관련주 상승
iM증권은 보고서를 통해 지난 월요일(1/20) 트럼프 대통령이 취임하며 집권 2기가 공식적으로 시작된 가운데, 241월 바이든 행정부에서 중단했던 Non-FTA 국가들에 대한 LNG 수출 신규 터미널 승인 중단절차를 즉각 재개하라고 명령했다고 밝힘. 친환경 정책을 강조해왔던 바이든 행정부의 흔적을 지우고 그 자리를 전통에너지로 채우려는데 공격적인 움직임을 보이고 있는 만큼, 향후 4년간 에너지 시장의 판도 변화는 불가피할 것으로 전망.

▷특히, 가장 빠르게 변화 및 성장할 것으로 예상되는 시장은 LNG 산업이라며, 25년에는 천연가스 시추 및 생산과 관련된 트럼프 행정부의 규제 완화 및 지난해 말에 완공된Plaquemines #1, Corpus Christi #3 터미널 가동 효과가 온기로 반영됨에 따라 LNG 수출량은 전년도 대비 큰 폭 증가하는 모습을 확인할 수있을 것이라고 밝힘.

▷국내 에너지 섹터에서는 미국산 LNG 도입 수혜가 기대되는 SK가스, SK E&S 등 민자발전사가 긍정적이라며, 보다 확장적으로는 LNG 터미널 건설에 직접적으로 노출되는 밸류체인에도 우호적 여건(ex: 피팅, 냉각시스템 등 플랜트 기자재)이 조성될 것으로 분석.

▷이 같은 분석 속 금일 비에이치아이,동성화인텍, 한국카본, 하이록코리아 등 일부 LNG(액화천연가스)/피팅(관이음쇠)/밸브 테마가 상승.

내일일정

01 23일 목요일

1. 미트박스글로벌 신규 상장

2. 대만 증시 휴장

3. 트럼프, 다보스포럼서 온라인 연설(현지시간)

4. 헌법재판소, 尹 대통령 탄핵심판 4차정식변론

5. 헌법재판소, 이진숙 방통위원장 탄핵심판 선고

6.이재명 대표, 신년 기자회견

7. 미국임상종양학회 소화기암 심포지엄(ASCO GI) 개최(현지시간)

8. 고려아연 임시주총 개최

9. DI동일, 올해 배당 2배로 늘린다..동일알루미늄 합병 작업 막바지 관련 보도에 대한 조회 공시 답변 재공시 기한

10. 1월 기업경기조사 결과 및 경제심리지수(ESI)

11. 2월 국고채 및 재정증권 발행계획

12. 4분기 및 연간 실질 국내총생산(속보)

13. 현대차 실적발표

14. SK하이닉스 실적발표

15. 삼성에스디에스 실적발표

16. 강원랜드실적발표

17. LG전자 실적발표

18. LS ELECTRIC 실적발표

19. 한화투자증권 실적발표

20. 애경산업 실적발표

31. 바이오플러스 추가상장(주식전환)

32. ) 주간 신규 실업수당 청구건수(현지시간)

33. ) 주간 원유재고(현지시간)

34. ) 유니언퍼시픽 실적발표(현지시간)

35. ) 텍사스 인스트루먼트 실적발표(현지시간)

36. ) 일본은행(BOJ) 금융정책회의 1일차

37. ) 12월 무역수지

 

내일 굴직한 국내 회사들의 실적 발표가 있습니다.
실적 발표에 따라 변동성이 커질 수도 있으니 최대한 보수적으로 접근해 봅시다
오늘 하루도 수고 많으셨습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