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양자암호10

23.12.11(월) 시황 및 특징테마, 연착륙 기대감과 경기둔화의 경계, 달러강세, 기관의 매수세로 양지수 강보합 마감 1. 전일 美장 브리핑 연착륙 미국 증시 주간 기준 6주 연속 강세 미국 11월 비농업 고용지수 19.9만명...'기대 이상' (장초반 흐름, 부담) 미시간대 '1년 기대 인플레 대폭 하락..3.1%' (장중반부터의 흐름, 긍정적) 국제유가 7일만에 반등...WTI 2.7% ↑ [연착륙] - 주간 금융시장 동향 ; 지난 주, 가장 큰 자산 상승 '비트코인' ; 천연가스, 커피 등 약세 ; 인도가 TOP. 반면, 아시아권 증시 흐름이 좋지 않았다. (일본, 홍콩, 중국) - 11월 고용보고서 ; 비농업취업자수 증가의 모습 (양적) ; 고용-실업, 실업률 개선되는 모습 (질적) ; 상세적으로, '교육 및 의료서비스'가 가장 많이 증가하였고, 다음은 '정부', 레저 및 접객산업, 제조업, IT..순이고 '무역.. 2023. 12. 11.
23.12.05 (화) 시황 및 특징테마, 달러강세, 차익실현, 기관의 양지수 매도 (너무 민감한 거 아니야!!), 코스피 2500 하회 1. 전일 美장 브리핑 경계 뉴욕증시, 고점 부담 속 차익실현 모습 국채금리 상승, 달러강세 러셀(중소형주)는 상승 마감 3개월, 6개월 국채 입찰... 상대적 견조한 수요 확인에 의한 낙폭이 줄어듦 반도체, 소프트웨어 등 차익실현 모습이 강했음 유가..3거래일 연속 약세 (OPEC+ 감산에도 불구) [] - 공장주문 둔화 ; -3.6% 감소 (20년 팬더믹 이후 가장 큰 폭의 하락) ; ISM 제조와 공장주문은 상당히 많은 상관관계가 있음 - 경기 서프라이즈 지수 (경제 지표의 예상치와 발표치간의 GAP) ; 미국은 지속적으로 하락 中, 유로존은 여전히 마이너스에 위치하고 있지만 꾸준히 올라오고 있다. ; 미국 경제가 냉각되고 있다 -> 금리인하 - 노동시장 냉각? 둔화? ; 컨퍼런스 보드고용동향 지수.. 2023. 12. 5.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