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THE 원칙 지키미입니다.
오늘의 KRX 마감 브리핑 및 특징 테마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국내 증시 마감 브리핑
2025년 4월 4일 KRX 마감 시황 분석
KOSPI (2,465.42p, -0.86%)
- 3일 연속 하락.
- 미국의 상호관세 부과 여파로 해외 증시 급락 영향.
- 한국 정치적 불확실성 해소 소식이 있었으나 외국인의 전기전자주 중심 대량 매도세로 하락 마감.
- 업종별로 제약(-2.1%), 기계·장비(-2.0%), 전기·전자(-1.9%), 의료·정밀기기(-1.6%) 모두 약세.
투자자별 동향 (외인 선/현물 시장 동반 매도)
- 외국인: -17,889억 원 (전기·전자 -14,135억 원, 운송장비·부품 -1,951억 원, 금융 -1,146억 원)
- 기관: +6,210억 원 (특히 금투: +3,502억 원, 연기금: +2,067억 원)
- 개인: +10,706억 원
- 선물시장: 외국인 -7,335억 원 / 기관 +5,832억 원 / 개인 +1,816억 원
프로그램 매매
- 차익: -322억 원
- 비차익: -10,818억 원 (평균베이시스 +0.57p)
KOSDAQ (687.39p, +0.57%)
- 전일 나스닥 급락 영향으로 하락 출발했으나, 기관의 매수폭 확대되며 상승 마감.
- 금융(+5.0%), 오락·문화(+3.6%), 운송·창고(+3.6%) 업종 강세.
투자자별 동향
- 외국인: -887억 원
- 기관: +730억 원 (특히 금투: +1,219억 원)
- 개인: +320억 원
2. 기타 지표
- 원/달러 환율: 1,435.9원 (-17.6)
- 위안/달러 환율: 7.2475 (-0.0312)
- 달러지수: 101.9 (-1.7%)
- 국제유가(WTI): 66.95달러/b (-6.64%)
- 브렌트유: 70.14달러/b (-4.81%)
- 한국 국채 3년물: 2.462% (-6.1bp)
- 한국 국채 10년물: 2.693% (-4.1bp)
- 미국 국채 10년물: 4.029% (-9.5bp)
3. 해외 증시
지수 지수값 등락률
지수 | 지수값 | 등락률 |
다우존스 | 40,546p | -4.0% |
나스닥 | 16,551p | -6.0% |
독일 DAX | 21,717p | -3.0% |
호주 ASX | 7,848p | -2.6% |
일본 니케이 | 33,781p | -2.8% |
중국 상해 | 휴장 | - |
대만 TWI | 휴장 | - |
홍콩 HSI | 휴장 | - |
4. 분석 및 시사점
* 관점 1 (오건영 단장)
시장 하락 원인 분석:
- 미국의 상호관세 부과 영향으로 외국인 투자자들의 매도세가 집중되고 있음.
- 특히 전기·전자 업종에서의 외국인 대량 매도는 주식시장 전체의 하락 압력으로 작용.
- 환율 하락(원화 강세)은 수출 중심 업종의 수익성에 부담을 줄 수 있음.
프로그램 매매의 비차익 매도 증가 주목:
- 비차익 매매에서 10,818억 원의 매도는 지수 하락의 주요 요인.
- 이는 외국인의 매도 심리가 단기적으로 강하다는 신호로 볼 수 있음.
대응 전략:
- 외국인 매도세가 지속된다면 KOSPI 하락이 이어질 가능성이 큼.
- 특히 전기·전자 업종의 변동성을 주목할 필요가 있음.
- 방어적 투자 전략으로 포트폴리오를 재편하는 것이 바람직.
* 관점 2 (김영익 교수)
글로벌 경기 침체 신호:
- 미국의 무역 정책 불확실성과 주요 국가의 증시 급락은 글로벌 경기 침체 우려를 반영.
- 특히 다우(-4.0%), 나스닥(-6.0%)의 급락은 위험자산 회피 심리가 강하게 나타난 것임.
금리 하락과 유가 하락의 의미:
- 미국 10년물 국채금리 하락(-9.5bp)은 안전자산 선호 현상을 반영.
- 국제유가의 급락은 경기 둔화 우려를 더욱 증폭시킬 수 있음.
대응 전략:
- 글로벌 경기 둔화 가능성에 대비해 경기 방어주와 내수주 중심의 투자 전략 필요.
- 외국인의 매도세가 지속된다면 추가 하락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방어적 포트폴리오 구성 필요.
특징테마
금일 특징테마 ; 정치 테마주는 제외하였음 - 거래소 단속 강화 때문
4/4 금요일 특징테마 |
이 슈 요 약 |
2차전지/전기차 등 | 美 관세 영향 제한적 분석 및 실적 회복 기대감 등에 상승 |
▷흥국증권은 보고서를 통해 관세 인상으로배터리셀 가격에 직간접적 영향이 있겠으나 직접적으로 영향을 받는 배터리 제품은 ESS(에너지저장장치)에 한정된다며, 제품 가격 상승이 단기적으로 고객사 제품 인도 시점을 지연시킬 수 있으나 통상 바인딩 계약에 의해 구속되기 때문에 연간 실적 기여에 대한 부정적 영향은 제한될 것으로 전망. 특히, 국내 배터리사의 EV(전기차)용 배터리 생산능력은 이미 북미 현지화에서 상당한 진척을 이뤘다 며, 미국이 추진 중인전력 인프라 투자의 핵심재료인 동박이 관세 인상에서 제외되면서 동박은 당분간 관세 무풍지대로 주목된다고 분석. ▷NH투자증권은 보고서를 통해 2차전지 업종이 공매도 재개 충격을 흡수하고 주가 반등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 공매도 집중에 따른 수급 여건 악화는 단기에 그칠 것으로 예상하고, 실적 회복이 예상되기 때문이라고 설명. 규제 강화로 유럽 전기차의 판매가 예상보다 좋고, 특히 대당 배터리 탑재량이 큰 BEV(순수 전기차)의 수요 개선이 돋보인다며, 올해 연초부터 2월까지의 유럽 BEV의 판매성장률은 31%에 달해 시장 전망치 20%를 웃돌았다고 밝힘. ▷이 같은 소식 속 LG에너지솔루션, 삼성SDI, SK이노베이션, 에코프로, 에코프로비엠, 에코프로머티, 엘앤에프 등 2차전지/전기차/리튬 테마가 상승. |
|
전력설비 | 국내 전력기기 업체 변압기 반덤핑 관세율 확정 속 美 관세 부과 영향 제한적 분석 등에 상승 |
▷미국에 수출한 한국산 초고압 변압기 반덤핑 관세율이 결정돼 이르면 4일(한국시간) 발표될 예정인 가운데, 최고 18%를 부과할 것으로 알려지면서 트럼프 1기 당시 최고 60%대 ‘관세 폭탄’을 맞는 위기는 피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음. 업계에 따르면, 미국 상무부는 업체별로 반덤핑 관세율 확정 결과를 통보. 일진전기 18%, LS일렉트릭 16.87% 등 업체별로 각각 다른 세율이 적용됐으며, 효성중공업과 HD현대일렉트릭은 관세 적용 대상에서 제외된 것으로 전해짐. 이번 관세부과 대상은 2022년 8월부터 2023년 7월 사이 수출된 물량으로 트럼프 1기 집권 당시인 2020년 HD현대일렉트릭은 60.81%, 효성중공업과 일진전기는 37.42%의 관세를 부과 받은 바 있음. ▷LS증권은 보고서를 통해 전력기기 업종의 경우 미국의 관세 부과에 대한 기본적 영향은 불가피하나 다른 업종 대비 상대적으로 영향은 제한적일 것으로 분석. 한국에 대한 상호관세 25% 부과는 전력기기 업종 도 기본적 영향은 있지만, 미국의 국가적 사업인 전력망 확충과 현대화 관련 초고압 송전 변압기 쇼티지(호황) 상황에서 중저압 배전변압기 포함 전체 변압기도 미국산 자급률 20%에 불과하다는 점에 주목해야한다고 밝힘. ▷이어 미국의 상호관세 부과에 따른 원자재 가격 상승 영향은 한국 전력기기 업체 대다수가 일정 비율에 대해선 제품 판매가격에 반영할 수 있다며, 앞으로 수주할 제품에 대해서도 고객과 협의해 일정부분 판매가격 반영을 통해 부담을상호 분담할 것으로 전망. 또한, 미국의 변압기 수입 비중은 80%인데 40%를 멕시코로부터 수입한다며, 한국 상호관세율이 멕시코(25%)와 비슷하기 때문에 미국의 변압기 핵심 수입국인 멕시코와는 수출가격 경쟁력 변동은 없다고 밝힘. ▷이 같은 소식 속 HD현대일렉트릭, 효성중공업을 비롯해 LS, 한국전력, 세명전기, 위너스 등 전력설비 테마가 상승. |
|
석유화학/ 태양광에너지 | 미국 상호관세 영향 중립적 or 상대적으로 긍정적 분석 등에 상승 |
▷하나증권은 보고서를 통해 석유화학 업종은 미국 상호관세 영향에 중립적 또는 상대적으로 긍정적이라고 밝힘. 미국은 대규모 ECC 증설에 따라 에틸렌/PE에 대한 아시아향 수출을 대폭 늘려왔기에 한국이 미국으로 수출하는 에틸렌 유도품의 비중은 2024 년 기준 1%로 미미하며, 한국의 석유화학 제품 수출 중 미국향 수출은 BD/SBR, PP, ABS/PC, 에폭시 등 미국 내 생산 비중이 적은 품목에 국한된다고 밝힘. 특히, 한국의 ABS 미국향 수출 비중은 8%인데, 상대적인 관점에서 긍정적인 것은 경쟁국인 중국/대만의 상호관세율이 각각 34%/32%로 한국보다 높게 설정되어 오히려 가격 경쟁력 관점에서 유리하다고 밝힘. ▷아울러 태양광 업종은 한화솔루션 일부 원가 상승 요인 있으나, 상대적으로 긍정적 영향 더 크다고 밝힘. 한화솔루션의모듈 생산은 대부분 미국 내에서 이뤄지고 있으며, 셀을 한국으로부터 조 달하기 때문에 베트남(상호관세율 46%/태국 36%)으로부터 셀을 조달하는 경쟁사 대비 원가 상승폭은 제한적이라고 밝힘. 또한 한화첨단소재가 미국 조지아 카터스빌에 EVA 생산공장을 보유해 부자재 조달에도경쟁사 대비 이점이 있다고 밝힘. ▷이 같은 소식에 티케이케미칼, SKC, SK이노베이션, LG화학, 이수화학 등 석유화학 테마와 HD현대에너지솔루션, 한화솔루션, 나노신소재, 에스에너지, 다원시스, OCI홀딩스 등 태양광에너지 테마가 상승. |
|
반도체 관련주 | 美 필라델피아 반도체(-9.88%) 지수 폭 락 및 트럼프 대통령, 반도체 관세 예고 소식 속 하락 |
▷지난밤 뉴욕 주식시장이 트럼프 상호관세 쇼크 속 경기 침체 우려 부각 등에 폭락 마감한 가운데,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도 폭락 마감. 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427.07(-9.88%) 하락한 3,893.69를 기록. 엔비디아(-7.81%), AMD(-8.90%), TSMC(-7.64%), 마이크론 테크놀로지(-16.09%) 등이 하락. ▷트럼프 대통령은 전 일 모든 국가에 10%의 기본관세를 부과하고 미국의 무역 적자폭이 큰 교역 상대국에 추가 세율을 부과하는 상호관세 행정명령에 서명. 국가별 상호 관세율은 중국 34%, 한국 25%, 유럽연합(EU) 20%, 베트남 46%, 일본 24%, 대만 24%,인도 26%, 태국 36%, 스위스 31%, 영국 10% 등임. 또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3일(현지시간) 마이애미로 이동하는 기내에서 기자들과 만나반도체 분야 관세 도입에 대해 "아주 곧"(very soon) 이뤄질 것이라고 예고. ▷이 같은 소식 속 SK하이닉스, 삼성전자, DB하이텍,티에스이, 유진테크, 한화비전, 테크윙, 케이씨텍, 한 미반도체 등 반도체 관련주가 하락. |
|
원자력발전/ 대왕고래 관련주 등 | 헌재, 尹 대통령 파면 결정 등에 하락 |
▷헌법재판소가 이날 오전 11시22분경 '만장일치'로윤석열 대통령 파면을 결정. 윤 대통령이 12·3 비상계엄을 선포한 때로부터 122일 만, 지난해 12월14일 탄핵소추안이 접수된 때로부터 111 일 만으로, 파면의 효력 은 즉시 발생해 이 시간부로 윤 대통령은 직을 상실했음. 이에 윤석열 정부의 대표적인 정책이었던 원자력발전 및 대왕고래 프로젝트 등의 정책 추진 동력이 상실, 차익매물이 출회되는 모습. ▷이와 관련, 화성밸브, 한국가스공사, 포스코인터내셔널, 넥스틸 등 남-북-러 가 스관사업, 피팅(관이음쇠)/밸브, 자원개발, 일부 철강 중소형 등 대왕고래 관련주, 에너토크, 비에이치아이, 지투파워, 한신기계, 보성파워텍, 두산에너빌리티 등 원자력발전 테마가 하락. 아울러, 풍산, 한화, 현대로템, LIG넥스원, 한화시스템 등 방위산업/전쟁 및 테러, 쎄트렉아이, 한국항공우주 등 우주항공산업(누리호/인공위성 등) 및 HJ중공업, 한화오션, 삼성중공업, HD한국조선해양, 동성화인텍, 한화엔진 등 조선/ 조선기자재 테마 등도 하락. |
내일일정
업데이트 예정

미국의 상호관세 부과 발표가 국내외 증시에 강한 부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윤석열 탄핵에도 불구하고 국내 증시는 외국인의 전기전자주 대량 매도와 프로그램 매매의 비차익 매도 증가가 KOSPI 하락의 주된 원인으로 작용했으며, 방어적 투자 전략으로 포트폴리오를 재편하고, 외국인의 매도세가 진정되는 시점을 확인하는 것이 필요해 보입니다.
하지만, 다시 태어나는 코리아를 기대하면서,
K증시에도 변화가 찾아오길... 8년 전 뻔한 정치 테마주 말고.
모두 화이팅^^
728x90
반응형
'STOCK > 시황 및 특징테마' 카테고리의 다른 글
25.04.07 (월) KRX 증시 요약 및 특징 테마 - Only 대선 관련 정치 테마주 (5) | 2025.04.07 |
---|---|
25.04.03 (목) KRX 증시 브리핑 및 특징 테마 - 제약바이오, 엔터, 모듈러 주택 등 (11) | 2025.04.03 |
25.04.02 KRX 증시 브리핑 및 특징 테마 - 이재명, 로봇, 화장품, 방산 (9) | 2025.04.02 |
25.04.01 KRX 증시 브리핑 및 특징 테마 - 윤 탄핵심판일 선고, 반도체, 조선/남북경협/화장품/드론 등 테마 강세 (4) | 2025.04.01 |
25.02.27(목)~25.02.28(금) KRX 증시 요약 및 특징 테마 정리 (1) (4) | 2025.03.01 |